빠른 고령화로 이해 치매 환자도 급증하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도 치매를 개별 가정의 문제로 인식하며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문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건 ‘치매 국가책임제’가 얼마나 실현될지 기대가 되고 있지만 시·군·구 자치단체별 치매관리센터의 설립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각종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치매 환자는 지난해 기준 7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치매환자 수는 급격하게 증가 중이어서 오는 2024년이면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앞으로 몇 년 만 지나면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를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치매 관리비용도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이 지불한 진료비와 간호비, 국가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지출 등을 합친 치매 관리비용은 2015년 기준 연간 13조 2000억 원(환자 1인당 2033만 원)에 이른다. 이런 비용은 치매 환자 증가에 따라 급증해 오는 2030년엔 34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전시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치매노인 환자 수가 2012년 1만 3000명에서 지난해에는 1만 7000명으로 크게 늘었다. 치매 유병률도 5년 사이에 9.2%에서 9.9%로 상승했다.

대전시는 충남대병원을 시 치매관리사업 수탁기관 및 광역치매센터 수탁기관으로 정하고 치매 유관기관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치매사업 추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다. 또 치매 고위험군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조기검진을 실시하고 저소득치매노인을 위한 약제비 지원 등 다양한 치매관련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치매통합관리센터를 추진한 서구를 제외하면 자치구별 치매센터도 없고 치매거점병원도 없다. 보건소에서 치매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나 치매상담 담당자들이 다른 업무를 같이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효과적으로 대처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물론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대선에서 공약으로 내건 ‘치매 국가책임제’가 어떻게 추진될지 관심거리다. 치매 국가책임제는 지역사회에 치매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치매 의료비 90%를 건강보험에 적용하는 등 사각지대에 놓인 치매환자들에 대한 공공지원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절실한 것은 치매전담센터를 설립하고 전문인력을 확충하는 일이다. 이를 통해 치매 조기검진을 강화해 예방에 주력해야 한다. 치매는 한 번 걸리면 회복이 어렵고 본인과 가족들이 고통을 받는다는 점에서 기초단체별 치매관리센터 설립을 통해 조기검진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치매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서둘러 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