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외청이 대전으로 이전해온 90년대 후반 대전은 전국에서 가장 활발한 인구 유입 도시였다. 이 무렵 대전은 광주를 제치고 전국 6위 도시에서 5위 도시로 올라섰다. 인구가 유입됨에 따라 각종 택지개발사업이 러시를 이뤘고, 신도시가 생겨나면서 인구 증가는 가속화 됐다.

이 때 대전은 택지를 개발하고 아파트를 짓는 데만 몰입했다. 기업을 유치하고 일자리를 만드는 일은 뒷전이었다. 그러던 중 세종시가 개발되기 시작했다. 대전에서 불과 20~30분이면 다다를 수 있는 거리에 최적의 요건을 갖춘 미래형 도시가 개발됐다.

세종시 역시 아파트를 몰아 짓는 것으로 개발의 서곡을 울렸다. 끝도 없는 아파트 숲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도권 주민들은 미래가치를 위한 투자목적으로 세종의 아파트를 구입했다. 하지만 삶의 터전을 옮기지는 않았다. 그리고는 그 많은 아파트를 전세 물량으로 쏟아냈다.

대전의 젊은 세대들은 일시에 대량의 아파트가 쏟아져 전세가가 안정세를 이루자 대거 세종시로 이주를 했다. 세종시에 유입된 인구 가운데 대전에서 이주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 여파로 대전은 눈에 띄게 인구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이제는 150만 명 붕괴가 목전으로 다가왔다.

큰 이변이 없는 한 2018년은 대전시 인구 150만 명이 붕괴될 가능성이 크다. 안타깝지만 어쩔 수 없다. 인구가 사회적 이동을 하는 데는 그럴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 일자리가 있거나 일터에서 출퇴근이 가능한데 주거비용이 월등히 저렴하면 일단 이동을 하는 것이 너무도 자연스러운 법칙이다.

호남고속철도 분기점을 결정할 때 미흡한 대처로 오송에 분기점을 뺏긴 대전시. 호남고속철이 완공되자 뒤늦게 서대전역 활성화와 열차 증편을 요구했다. 그 사후약방문의 과오가 인구 150만 명 붕괴 시점에 다시 재연되고 있다. 아무 대비 없이 지내다가 이제야 호들갑이다.

사실 세종시가 개발된다고 발표됐던 시점부터 대전은 장기플랜을 세워 수도권 이전 인구를 세종과 분산해 유입하기 위한 대책을 세웠어야 했다. 그것은 일자리 창출이었다. 하지만 그동안 대전은 일자리 창출과 기업유치에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인구 150만 명 붕괴는 어쩌면 당연하다. 이제라도 일자리를 만들어내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만들지 않으면 몰락하는 대도시가 될 수밖에 없다.

수도권은 서울만 발전한 것이 아니다. 먼저 서울이 발전한 이후 경기권 전역으로 인구유입과 도시성장이 이어졌다. 세종이 먼저 인구가 팽창한 이후 인접한 대전과 청주, 공주 등지가 성장의 시점을 맞을 것이다. 일자리를 만들어두지 않으면 대전은 중부권 최대 거점도시라는 타이틀을 내줘야 할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