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18일 전기 시내버스 시범사업 추진에 앞서 주행테스트와 함께 시승식을 가졌다. 시승식에 참여한 국내외 4개 업체는 실제 운행을 통해 배터리 성능, 구동방식 등을 검증받았다. 시는 내달 중 전기버스 차종을 확정하고 오는 9월말까지 충전기 설치와 출고를 마무리하고 10월부터 2대를 211번 버스노선에 시범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대전시가 전기 시내버스를 운행하기로 한 것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미세먼지 등 시내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날 시승에 참여한 취재기자에 따르면 시동이 걸렸다는 것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소음이 적고 연료비 등 유지 비용이 저렴해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런 장점으로 인해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전기버스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실제로 제주도는 50여 대, 부산시는 30여 대를 이미 운행 중이다. 또한 서울시는 오는 2025년까지 10만 대, 경기도는 2027년까지 4000여 대, 충북은 2027년까지 153대의 전기버스 도입 계획을 앞 다퉈 내놓고 있다.
이런 실정임을 감안해 보면 대전시의 이번 전기 시내버스 도입 추진은 늦은 감이 없지 않다. 과학도시임을 내세우고 있는 대전시가 차세대 대중교통으로 꼽히는 전기버스 도입에서 뒤처진 느낌을 받고 있다는 것은 아쉬운 일이다.
물론 대전시가 전기버스 도입을 한 발 늦게 추진하고 있는 것은 타 도시의 운영사례나 충전방식 등을 고려해 완벽을 기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서울시가 지난 2010년 약 38억 원을 투자해 전기버스 9대를 시범운영했지만 차량의 고장과 수리불가 등으로 실패한 사례가 있었다는 점에서 신중을 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전기버스 차량 구입비가 고가인 점과 충전시설 확충에 따른 현실적인 어려움도 해결해야 할 선결과제로 꼽힌다. 전기버스 1대 가격이 4억~5억 원인 점을 감안하면 정부(1억 5000만 원)와 지자체(1억 원)의 보조금을 모두 받더라도 구입비의 절반가량을 버스사업자가 내야 한다. 여기에 충전설비 설치비용이 대당 8000만 원으로 고가인 점도 부담이다.
그렇지만 이제 전기버스는 시대적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그동안 문제로 지적되어온 차량의 고장과 수리불가 등은 이제 기술력의 향상으로 극복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고가의 차량 구입비 문제나 충전설비 비용 등도 다량으로 도입된다면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한다면 대전의 전기버스 도입은 더 확충되어야 한다. 미세먼지를 비롯한 도시환경문제는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오른 지 오래다. 예산이 수반되는 사업이지만 시민들의 건강과 직결된 사업인 만큼 전기버스 확충을 좀 더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