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출연연, 지난해 싱크홀 예방 기술 개발

UGS융합연구단이 개발한 사물인터넷(IoT) 기반 지하공간 그리드 시스템 개념도. ETRI 제공

최근 대전 서구 정부대전청사 주변에서 가로 2m, 세로 2m, 깊이 4m 규모 지반침하현상(싱크홀)이 발생하면서 시민 안전에 빨간불이 켜졌다.
사실 대전에서 싱크홀이 발생한 것은 어제오늘일이 아니다.

지난해 8월 대전 동구 삼성동과 대덕구 한 아파트 내에서도 싱크홀이 발생하는 등 최근 들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싱크홀이 일어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꼽힌다.
상·하수도관이 노후되는 것과 주변 압력으로 인해 지반이 약해지면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전국을 비롯해 대전에서도 매년 싱크홀이 발생하면서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에선 이미 지난해 싱크홀 예방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이 기술은 이미 서울 성동구 왕십리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사업도 완료됐다.

하지만 대전에선 월평역에서만 테스트베드가 진행된 후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이미 싱크홀을 예방할 수 있는 해결책이 나왔지만 대전 지역 곳곳에 적용되지 않으면서 지적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덕특구 출연연이 기술을 개발한만큼 대전시가 타지역에 비해 선도적으로 싱크홀 예방에 앞장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개발된 기술은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지역을 분석해 분석된 위험지역을 대상으로 상·하수관로, 도시철도 시설물, 지하수 관정 등을 센서와 탐사장치를 이용해 측정 분석 한 뒤 누수나 균열여부를 파악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GPR 스캐닝 장비로 도로 하부의 동공을 확인한다.

또 지하매설물의 상시 감시엔 맨홀을 이용해 사물인터넷(IoT) 통신기술을 적용하면서 맨홀 속 제수밸브에 센서를 붙이고 맨홀 뚜껑에 안테나를 설치하고 기지국(UGS-AP)을 통해 센싱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UGS서비스플랫폼에선 지하공간을 3차원 입체영상 및 지반함몰 위험도 상태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 기술은 이미 여러 시험사업 등을 거치며 기술력을 입증한 셈이다.

ETRI 관계자는 “지자체에서 의무적으로 싱크홀 예방 관련 보고서를 제출하는 등 싱크홀을 막기 위한 법이 발효되면서 향후 지자체에서도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서울 성동구청에서 기술 활용을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으로 해당 지역에선 많은 시범사업을 진행했지만 대전에선 월평역에서만 적용됐다. 시 전체에 설치하기엔 예산적으로 큰 부담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둔산동, 구도심 등에만 설치하더라도 싱크홀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연구 기술을 주도한 이인환 박사는 “해당 기술을 통해 시범지역을 했던 왕십리 반경 500m는 이미 안전관리를 하고 있다. 올해부터 싱크홀 예방이 법제화가 됐지만 지자체 등에선 아직 움직임이 없다”며 “해당 기술 시스템 정착이 필요한 상황이다. 성동구에서도 이미 싱크홀 발생 위험 지역을 찾아내는 등 기술력은 증명됐다. 향후 시가 추진하고 있는 대전의 스마트시티 정책에서 해당 기술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강정의 기자 justice@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