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동 대전충남민언련 사무국장

6·13 지방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본 선거를 앞두고 일제히 내걸린 후보들의 현수막과 선거 운동원들의 부지런한 발걸음도 내일이면 잦아든다. 절치부심 길게는 지난 4년, 짧게는 최근 몇 달 동안 마음 졸이며 준비한 후보자들도 긴 대장정의 마지막 결과만을 기다리게 된다. 과정이 어떻게 됐든 지역의 유권자들 역시 자신의 한 표를 행사함으로써 앞으로 4년의 미래를 선택하는 날 이기도 하다.

사실 이번 지방선거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추진된 남북, 북미정상회담 등의 여파로 깜깜이 선거라는 우려가 높았다. 지난 8~9일 이틀 동안 진행된 사전투표는 20.1%를 기록했다. 당초 우려와 달리 이번 지방선거 투표율이 생각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지방선거는 선거기간 내내 지역의 이슈가 실종된 채 진행됐다. 대전시장선거의 경우 네거티브공방으로 후보들의 정책 비교가 불가능했다. 여론조사 결과 전국적으로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높은 지지율로 인해 지역의 정책 이슈가 묻혔다. 자유한국당이 제기한 발가락 논란 역시 병역 및 도덕성 검증으로 확대되지 못하고 네거티브 공방으로 머물렀다. 대전만의 문제도 아니다. 드루킹 논란의 중심이 된 경남지사 선거나, 이재명 의혹 등 전국이 정책 대결보다는 각종 논란과 의혹 공방으로 흘렀다.

개인적인 느낌이지만 이번 지방선거는 유독 정당과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 모든 이목이 쏠린 선거라는 생각도 든다. 각 구청장을 뽑는 기초자치단체장과 대전시 교육 행정을 책임지는 교육감 선거에 대한 지역 언론의 관심도 생각보다 높지 않아 보인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정작 이들을 감시, 견제할 시의회 의원이나 구의회 의원 선거에 대한 주목도는 상대적으로 더 떨어졌다.

물론 이러한 흐름을 거부한 곳도 있다. 이번 지방선거과정에서 전북지역의 경우 동네 정치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상대적으로 언론의 관심을 받기 어려운 시의회, 구의회 의원 선거 출마자들을 위해 마을미디어와 지역 언론, 지역 시민사회가 공동으로 토론회를 개최하고, 이를 인터넷을 통해 중계 해 동네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어올리기도 했다. 사실상 출마해도 이름과 공약조차 제대로 알릴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이들 후보자들에게 자신들의 정책과 공약을 설명하고, 상호 토론할 기회가 주어지는 것 자체가 신선했다. 유권자입장에서도 정보를 접할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았던 후보자들을 직접 평가할 정보가 제공됐다는 평가다.

이제 남은 시간은 단 하루. 유권자의 입장에서는 내일 투표장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남았다. 책자만큼 두꺼운 선거공보를 꼼꼼히 읽어가며 자신이 지지할 후보를 선택한 유권자, 기존지지 정당이나 인물을 보고 이미 마음의 결정을 내린 유권자, 나름 민선 7기 지방자치의 미래를 고민하며 선택한 유권자, 주변 사람들의 평가나 권유를 듣고 결정한 유권자도 있을 것이다. 어떤 선택이든 유권자로서 소중한 투표권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단 5분의 시간은 대단한 시간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내일은 투표하는 날, 내게 주어진 7장의 투표권이 지역의 4년을 바꾼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