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명의 사망자를 비롯해 37명의 중경상자를 낸 지난 26일의 세종시 새롬동 주상복합아파트 공사장 화재는 감독기관을 비롯해 시공사의 안전불감증에 의한 인재(人災)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아직 정밀 감식결과가 나온 것은 아니지만 현재까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시공사가 신축공사를 하면서 부주의한 데다 가연성 건축자재가 많아 화재를 키웠다는 것이다. 최근 들어 잇따르는 대형 화재로 인해 안전이 강조되고 있지만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 들어 대형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는 끊일 줄 모르고 발생하고 있다. 지난 1월 경남 밀양 세종병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46명이 숨지고 100여 명이 넘는 사람이 중·경상을 입은 것을 비롯해 지난해 12월 29명을 목숨을 앗아간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등 대형화재가 잇따르고 있다. 최근 5년간 대형 화재로만 총 124명이 목숨을 잃었다.

그 중에는 아파트 등 공사현장에서의 화재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2016년 9월 경기 김포시 주상복합 공사현장 화재로 4명이 사망한 데 이어 올해엔 인천 부평구 주상복합건물 공사장 화재로 3명의 목숨을 잃었다. 이런 아픔이 가시기도 전에 이번엔 세종시에서 주상복합 아파트 공사장 화재로 수많은 인명피해를 내고 말았다.

공사현장에서의 화재는 완성된 건물보다 훨씬 더 취약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시공 중인 건물은 소화설비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 데다 가연성 건축자재들이 정리·정돈이 안 돼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화재가 발생해 연기가 차더라도 비상등과 같은 대피로를 찾도록 돕는 시설이 없어 피해를 키우기 십상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공사현장에서의 화재를 막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고 있지만 이를 지키는 곳은 많지 않다. 정부는 지난 2015년부터 화재위험이 있는 건축공사 현장에 소화기, 간이 소화장치, 비상 경보장치, 간이 피난유도선 등 임시소방시설 설치를 의무화한 바 있다.

세종시 아파트 공사현장 화재의 경우 28일 합동기관의 정밀감식이 진행되는 만큼 이를 지켜보고 판단해봐야 하겠지만 이를 제대로 지켰을지는 의문이다. 게다가 이 아파트 공사현장은 1년 전 산업안전보건법을 준수하지 않아 업체와 관계자가 형사처벌까지 받았던 것으로 드러나 안전에 대한 이들의 의식을 보여준다.

이번 세종시 화재를 계기로 공사현장에서의 안전 대책을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안전교육 강화는 물론 일정 규모 이상의 공사장 내 안전관리자 상시 배치를 의무화해야 한다. 공사장에서의 안전제일을 말로만 할 것이 아니라 이를 위한 실질적인 조치들이 이뤄져야 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