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상인들이 모여 지난해 개장했던 대전 중리달빛야시장이 사실상 문을 닫았다.

대전 최초의 야시장으로 지난해 3월 개장할 당시에는 관심을 끌었지만 고전을 면치 못하다 폐장단계에 내몰린 것이다. 중리달빛야시장뿐만 아니라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다른 전통시장 청년창업사업도 잇따라 실패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시장과 청년관련 사업에 대한 대수술이 필요해 보인다.

중리달빛야시장은 소상공인진흥공단의 골목형 시장형성 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되면서 지난해 3월 31일 성황리에 개장했다. 중리전통시장 내 남북 통로 195m 구간에서 월요일을 제외한 매일 해가 진 오후 7시부터 밤 11시까지 20여대의 매대가 운영됐다.

대전 1호 야시장이라는 타이틀이 붙어서인지 개장 초기에는 시민들의 관심을 끌면서 반짝 인기를 누리기도 했다. 하지만 개장 후 한 달이 지나면서 손님을 줄기 시작했다. 야시장의 경우 먹거리뿐만 아니라 즐길 거리와 볼거리 등이 있어야 하지만 달빛야시장은 음식 매대를 제외하곤 편의 및 오락시설이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위치가 협소해 손님들이 불편을 감수해야 했고 기존 상인들과의 마찰까지 빚으면서 운영에 어려움이 가중됐다.

전통시장과 청년창업을 연계한 대전의 다른 시장들도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 곳은 드물다. 중구 태평동 청년맛잇길과 유천동 청춘삼거리, 서구 한민시장 다문화음식특화거리, 동구 인동 청년구단 등도 사실상 실패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수십억의 국비와 지방비를 쏟아 부은 사업들이 성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비단 대전만의 문제는 아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153억 원을 투입해 추진한 전통시장 내 청년상인육성사업중 상당수가 휴·폐장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청년상인 창업지원 사업에 선정된 총 55개 전통시장 중 84%에 달하는 46개 시장에서 휴업 또는 폐업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는 정부와 지자체의 탁상행정이 빚은 결과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정부와 지자체가 청년상인 수 늘리기라는 실적 올리기에만 신경을 쓰고 주변 여건을 고려하거나 청년들과 충분한 교감도 없이 추진한 탓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사후관리까지 소홀히 하고 있는 것도 문제다.

전통시장과 청년창업을 연계한 사업에 대한 근본적인 대수술이 필요한 이유이다. 단순히 지원금만 지원할 것이 아니라 청년상인들의 자생력을 강화하고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특화교육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또한 지원금만을 노리고 시작하는 사업을 막기 위해 청년 상인들의 책임감 및 성과제고를 위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 등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