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구인난은 비단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청년실업률이 치솟고 있음에도 중소기업들은 일할 사람이 없다고 아우성이다. 청년은 직장을 갈구하고, 중소기업은 사람을 구하지 못하는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가 심각한 우리의 현실이다.

실제 중소기업의 구인난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 중소기업의 일자리는 20만 1000개나 공석으로 남아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직원을 채용하는 공고를 내도 지원자가 오지 않고 겨우 뽑아도 몇 년도 안 돼 이직해버리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의 구인난은 알짜배기라고 해도 예외가 아니다. 지난달 대한상공회의소는 대전 18개사를 비롯해 일하기 좋은 중소기업 565개사를 선정 발표했다. 이들 기업은 비전과 성장가능성, 복지, 급여 등이 대기업 수준으로 이른바 ‘알짜배기 기업’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다.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국정과제로 정하고 많은 지원을 해주고 있음에도 중소기업이라는 태생적 한계로 인해 청년들의 눈높이를 맞추지 못하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채용 공고를 내도 지원자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중소기업의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같은 청년들의 인식을 개선하는 작업이 중요함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구직을 원하는 대다수의 청년들은 대기업이나 공무원, 공기업을 원하고 있다. 안정적인 직장, 높은 급여와 각종 복지혜택 등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에게 중소기업은 취업리스트에서 제외되기 마련이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대기업이나 공무원이 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취업준비를 위해 3~4년 정도는 허비해도 상관이 없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이를 해소하는 작업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중소기업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인건비를 지원하고 청년자산형성과 교통비·주거비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단기적인 지원책에 불과하고 청년들의 인식을 바꿀 정도는 되지 못하고 있다.

대기업과 중기 간의 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의 체질이 개선되고 급여를 포함해 복지 등이 향상되어야 중기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이 바뀔 수 있다는 얘기다. 여기에 범정부차원의 대대적인 캠페인을 통해 청년들의 중기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는 작업도 병행해야 한다.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부족도 일자리 미스매칭의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만큼 청년들에게 중기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지자체별로 기업과 청년들을 연결해주는 매칭센터를 운영하는 등 실질적인 정보교류의 장을 마련해주면 효과적일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