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등으로 인프라·인재 유출

[지역 내 유관기관 협업 필수, 국제도시로 발돋움해야]

과학입국(科學立國)의 명제 아래 대덕연구개발특구(前 대덕연구단지)가 조성된 지도 어느덧 반 세기에 다다른 45년째다. 지금의 ‘과학강국 대한민국’ 명성이 이어지기까지,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밀집해있는 대덕특구와 함께 대전 내 벤처기업이 숨은 조력자 역할을 톡톡히 해왔던 역사다. 출연연의 우수한 연구개발을 시작으로 이를 전수받은 벤처기업의 기술 상업화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산증인인 것이다. ▶관련기사 3면

1973년 계획수립 이후 1974년부터 공사가 시작된 대덕연구단지엔 1992년 준공식이 열리기 전부터 이미 1980년대를 거쳐 대부분의 정부출연연구소와 함께 1990년대부턴 민간·기업부설 연구소 등이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혁신창출의 메카로 부상했다.

또 당초 연구·학원 도시로서 생산시설이 허용되지 않았으나 정부는 1999년 대덕연구단지관리법 개정을 통해 연구 성과의 실용화 및 벤처기업 입주를 적극 지원하면서 대전은 전국에서 유일무이하게 과학도시와 함께 벤처도시로 부상했다.

이에 더해 정부는 2000년 대덕연구단지를 산·학·연 복합단지로 발전시킨다는 취지의 대덕밸리 선포식을 가지면서 2005년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통과시켰다. 현재 ‘연구개발을 통한 신기술의 창출 및 연구개발 성과의 확산과 사업화 촉진’을 주 기능으로 한 대덕특구가 출범하기까지의 발자취다.

하지만 현재 광주·대구·부산·전북 등 전국 곳곳에 연구개발특구가 들어서면서 ‘과학도시’ 위상과 함께 ‘벤처도시’의 명성 또한 흔들리고 있는 게 대전의 현 주소다.

대전시와 연구개발특구재단을 비롯한 공기관과 함께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등의 지역 내 경제계가 벤처도시의 명맥을 이어가기 위해 손을 맞잡아야 하는 중요한 시기인 셈이다. 또 4차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시가 표방하고 있는 ‘4차산업혁명특별시 대전’을 이뤄내기 위해서도 매년 수천개의 연구성과가 쏟아지고 있는 대덕특구와 지역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대전 내 벤처기업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막중한 상황이다.

그러나 현실은 결코 만만치 않다. 대덕특구 내에서 개발된 기술은 외면받는 한편 경기도 판교 신도시엔 연구개발단지인 판교테크노밸리가 조성되면서 대전 내 벤처기업의 황금기 또한 저물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대덕특구를 다시금 벤처 허브로 부활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전이 외국인 유치에 적극 나서 국제적으로 이름을 떨쳐야 한다는 게 주된 골자다.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장을 지낸 이승완 서울프로폴리스㈜ 대표이사는 “대전이 ‘4차산업혁명특별시’에서만 머무를 게 아닌 ‘과학기업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선 새로운 젊은 세대가 들어와 벤처기업도 선순환돼야 하지만 현재 인프라와 많은 인재들이 판교 등으로 유출되면서 위기를 맞고 있다”라며 “대전만의 전략을 찾아야 한다.

4차산업혁명의 실증화를 이뤄내기 위해선 대전시가 발빠르게 대덕특구 내 글러벌 인재 유치와 외국인 유학생 창업을 위한 ‘규제 프리존’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미국·일본·칠레 등에선 외국인 유학생의 비자를 연장해주는 등 외국인 유치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만큼 대전시도 외국인 유학생 창업 비자 간소화와 창업 자금을 지원하는 것과 함께 사이언스 콤플렉스 내에 외국인 창업 창작소인 ‘아시아 벤처 허브’을 구축, 침체의 늪에 빠진 벤처 창업을 활성화시켜나가야 한다”고 훈수했다.

강정의 기자 justice@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