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중권 세종본부장

‘격세지감(隔世之感’이 실감난다.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세종시를 찾았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첫 국무회의를 주재했다.

한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문 대통령의 이번 내방은 정치적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는 것이 정가의 분석이다.

이날 문 대통령은 화두에서 감회가 새롭다며 세종시의 위상을 높였다. “참여정부 시절 구상했던 세종시가 이렇게 대한민국 행정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고 회고한 문 대통령은 “세종시는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심장”이라는 정의를 내렸다.

그렇다. 세종시는 국토균형발전의 중심, 자치분권의 선두주자로 성장하고 있다.

미래의 행정수도를 품고 첫 삽을 뜬지 10년. 정부세종청사에는 42개 중앙정부기관과 15개 국책연구기관이 들어섰다.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도 청신호다. 내년도 예산에 국회 분원 건립비용 10억 원이 반영됐다. 세종시민들의 염원이 착착 이뤄지고 있는 현실이다.

세종시(행정중심복합도시)는 국가의 역사적 대의를 품은 ‘작은 정부’로 태동했다. 국토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의 큰 틀이 그것이다.

이춘희 세종호(號)의 ‘작은 정부’ 는 자치분권 실현의 모델이다. 선두주자인 세종호는 지난 7월 항해에 나서 닺을 올렸다.

시는 내년 1월부터 시행할 ‘세종시 자치분권특별회계 설치 및 운영 조례’를 지난달 공포했다. 주민세 전액을 주민이 집행할 수 있는 예산 등 자치분권의 ‘초석’을 마련한 것이다.

앞서 지난 8월에는 첫 직선제에 이동환 서기관이 초대 읍장으로 취임했다. 이어 읍·면·동장 시민추천제를 한솔동과 도담동 등 동(洞) 지역으로 확대 시행에 들어갔다.

이처럼 자치분권을 향한 초석을 다지고 있는 가운데, 계획대로 진척되고 있는 행정 동력을 볼 때 절반의 성공을 거머쥐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불과 4년여 전, 세종시청과 시교육청의 신도시(행복도시) 이전, 급격한 인구 감소와 상가의 공실 등이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불안감이 커졌다.

특히 원도심의 상대적 박탈감 등 구도심의 ‘공동화’ 현상의 불안감이 극도에 다 달았을 때, 기적 같은 반전이 일었다. 쇠락의 길로 치닫던 구도심이 안정세로 돌아서면서 ‘다시 태어나는 도시’로 탈바꿈 됐다.

자치분권의 중심에 서 있는 세종시가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가는 이정표의 한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정부가 지방자치분권 실현에 나선 지 20년이 지났지만 실패를 거듭했다. 그 것을 세종시의 ‘작은 정부’가 해내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국무회의에서 “세종시는 행정수도,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심장”이라는 정의를 확실하게 밝혔다.

세종시의 ‘작은 정부’가 실현되는 자치분권의 성공을 기원하는 대통령의 깊은 뜻이 담겨 있다는 생각이다.

서중권 세종본부장 013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