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출범한 이용우 부여군수가 관사를 주민편익시설로 활용하겠다는 평소 의지대로 실천하기로 해 찬사를 받고 있다. 현 부여군수 관사는 지난 2000년 민선 2기 때 부지면적 1290㎡에 관리사와 차고 등을 포함해 건물면적 223㎡로 지어졌으며, 시설수리 등 연간 1000여만 원의 운영비가 들어간다. 이런 사정을 잘 아는 신임군수가 ‘주민편익시설 전환’ 방침을 밝혀 신선하고 상징적으로 시사(示唆)하는 바가 크다. 그가 한 말이 또한 깊은 공감을 준다. “군수는 해당 지역 주민들 가운데 선출되기 때문에 관사를 둘 필요가 없다. 주민들을 위한 장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민들이 직접 뽑은 군수로서 과거와 다른 ‘혁신적인 열린 사고’에 박수를 보낸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존치입장’을 밝혀 논란이 커지고 있는 ‘충남지사 관사촌’은 어떤가. 충남참여자치지방운동연대는 지난 달 24일 2차 성명을 내고 “안 당선인 측은 ‘관사가 특권과 낭비, 권위주의의 상징이었던 시대가 있었지만 지금은 24시간 일하는 업무영역의 연장선으로 본다. 긍정적, 부정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제도를 개선하겠다’며 사실상 기존 관사를 사용할 계획임을 분명히 했는데,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외면하고, 궁색한 상황논리로 자신들의 입장을 합리화하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진보개혁 성향으로 알려진 안희정 충남도지사의 정치적 신념과 소신에 부합되지 않는 ‘잘못된 선택’이란 지적이 그래서 나온다. 대전시의 경우는 어떤가. 민선 3기였던 2003년 서구 갈마동에 자리하던 시장 관사를 보육시설로 전환하고, 염홍철 시장이 사비를 들여 숙소용 아파트를 매입한 바 있다. 충북도 역시 이시종 도지사가 “관사를 도민에게 환원하겠다”는 선거공약대로 관사를 전면 개방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이 지사는 “관사는 지금 시대에는 맞지 않는 것으로 미술관, 공원 등 공익개념으로 이용할 것”이라는 입장을 피력, 민선 5기 충북도정 정책기획단에서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지난 1일 취임 기념 기자회견을 통해 “공직사회를 당장 개혁하려 하지는 않겠다. 하지만 자기변화가 필요하다”며 도정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것이란 의지를 분명히 했다. 새로 출범하는 안희정 도지사를 바라보는 주민들의 기대감은 자못 크다.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말이 아닌 실천으로 보여주려면 ‘관사촌 문제’부터 주민들의 뜻이 진정 무엇인지 헤아려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