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권 추락 등을 이유로 명예퇴직을 신청하는 교사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충남지역 교사들의 명퇴 증가율은 전국 최고를 기록할 정도다. 날로 증가하는 교권침해 등으로 교직에 어려움을 겪는 교사들이 많다는 얘기다. 교권회복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따르면 올 2월 명예퇴직을 신청한 교원은 총 6039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월 명퇴자 기준으로 보면 2017년 3652명에서 지난해 4639명으로 증가한 데 이어 올해는 벌써 6000명이 넘어선 것이다. 이는 지난해 2월과 8월 두 차례 명퇴신청 인원을 합친 6136명에 육박하는 수치다.

지역별로 보면 충남의 증가율이 눈에 띈다. 충남은 전년 159명에서 314명으로 155명이 늘어 97.5%의 증가율을 보였다. 전국 최고의 증가율이다. 원인을 분석해봐야 정확하게 알겠지만 충남지역 교사들의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큰 것이 아닌가 추측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교단을 떠나려는 교사들이 해마다 증가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교권추락 때문이라는 게 교육계의 중론이다. 학교 현장에서는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는 말이 사라진 지 이미 오래다. 학생의 인권이 중시되고 학부모들의 목소리는 커지면서 이제는 교사가 눈치를 보는 분위기가 되어 버렸다. 교권이 이렇게 추락하다 보니 교사들의 피로감과 회의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실제로 교권이 침해당하는 사례가 급증한 것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지난해 5월 공개한 '교권회복 및 교직상담 활동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1년간 접수된 교권침해 상담 건수는 총 508건으로 10년 전인 2007년 204건보다 무려 2.5배나 증가했다. 2010년 초반까지만 해도 한 해 200건대가 접수됐지만 2016년부터는 매년 500건 이상씩 접수되고 있다는 것이다. 심각한 일이다.

교사들이 교직에 회의감을 갖고 있다는 것은 우리 교육의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교직에서 버틸 수 있는 힘은 보람과 자긍심인데 이런 부분이 사라지고 있다면 이를 회복시켜줄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제 학생의 인권과 학부모의 주장만 중요시할 것이 아니라 교사들의 목소리가 강조되는 분위기를 마련해 줘야 한다.

한국 교총의 주장대로 갈수록 추락하고 있는 교권을 회복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나와야 한다. 교사들에게 강력한 학생 지도권을 부여하는 한편 교사들의 교권 침해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교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폭언과 폭행 등에 대해선 강력하게 처벌을 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하는 등 교권을 보호할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