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사업이 29일 정부가 발표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 중 하나로 선정됐다. 대전시로선 우여곡절도 많았던 숙원사업이 본격 진행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대전시 발전의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지만 부작용도 적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만큼 면밀한 추진이 필요해 보인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사업은 지난 1996년 1호선과 함께 정부의 기본계획 승인 이후 23년 동안 장기 표류해왔다. 당초 2호선은 고가경전철로 제안됐지만 2006년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미끄러지면서 보류됐다. 이어 2012년에 종합분석에서 기준을 넘겨 겨우 예타를 통과했으나 이듬해 염홍철 당시 시장이 자기부상열차로 사업 방식을 변경하면서도 추진이 늦어졌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이 트램으로 본격 추진된 것은 2014년 권선택 시장이 취임하면서부터다. 고가 자기부상열차는 1조 3617억 원의 사업비가 들어가는 반면 트램은 6950억 원밖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이 주 이유였다.

하지만 사업방식 변경에 따른 추진은 쉽지 않았다. 노선 등 기본계획을 다시 수립해야 했고 예타도 다시 받아야 했다. 그동안 예타 통과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등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다 이번에 국가균형발전 차원의 정부 방침에 따라 예타가 면제되면서 비로소 정상궤도로 진입하게 된 것이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은 총연장 37.4㎞, 정류장 36개소로 2025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개통되면 기존 1호선과 3호선 역할을 하게 될 충청권광역철도와 함께 대전시 도심철도망이 대폭 확대된다.

대전시는 그동안 배제됐던 2구간(5㎞)을 포함해 완전한 순환선으로 건설되며, 고가나 자기부상 방식보다 연장이 8.8㎞ 늘어나고 수혜인구가 10만 9000명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한 도심 혼잡이 해소되고 교통사각지대 해소는 물론 가로상권 활성화, 도시경관 증진, 대기오염 감소 등의 효과가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

그렇지만 트램에 대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넓지 않은 도로 여건에 버스전용차로까지 운영하고 있는 상황에서 왕복 2차선으로 트램까지 가세할 경우 도심 교통혼잡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이런 부작용을 어떻게 해소하면서 추진하느냐가 관건이다. 일각에선 구간에 따라 지하철이나 지상고가방식의 혼합형으로 건설하는 등으로 도심 혼잡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미 예타도 면제된 상황에서 또 다시 긁어 부스럼을 만든다고 할지 모르지만 대전의 장기발전의 중요한 사업이라는 점에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계속해서 찾아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