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총선이 눈앞에 다가왔는데도 세종시 선거구 확정이 지연되고 있다. 늦어지는 이유는 각 당의 이해타산이 맞 물려 있기 때문이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지난달 말 국회에서 선거구 획정문제를 논의했지만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민주당과 선진당은 세종시 선거구 신설을 찬성하는 반면 한나라당은 공직선거법을 고쳐야 한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조건부 찬성을 하고 있다. 이 같은 여야의 선거구획정 셈법은 누가 봐도 ‘밥그릇’ 지키기 싸움이다.

이러다보니 양 당간에 합의점을 도출해 내지 못하고 외각만 맴돌고 있다. 선거구 획정에 대한 여야의 속 내용을 보면 민주당은 경기파주와 강원 원주, 경기 용인 기흥을 분구하고, 세종시를 신설하는 대신 영남 3곳, 호남 1곳의 지역구를 줄여 전체 지역구 의석수를 현행대로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반해 한나라당은 선거구 조정은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며 강원 원주와 경기파주를 분구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속셈은 한나라당은 세종시를 포함해 선거구 3곳을 늘리자는 것이고 민주당은 4곳을 늘리자는 것이다.

세종시선거구는 여야가 다른 각도로 접근해 풀어야 한다. 세종시를 기존 선거구에 맞춰 풀어 나가려고 해서는 해법이 나오지 않는다. 즉 별건으로 취급해 독립선거구로 풀어 가면 이외로 쉽게 풀릴 수 있다. 오는 7월 1일부터 세종시에는 광역자치단체가 출범한다. 시장, 시교육감이 선출되는 데도 지역주민들의 이익을 대표할 국회의원을 두지 않는 다는 것은 어불성설(語不成說)이다.

세종시 선거구 문제를 충남에 선거구가 1곳 더 늘어난다는 식으로 문제를 풀어가서는 해답이 보이지 않는 다는 점이다. 상식과 순리를 무시한 정치판에 국민들은 차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다는 것을 주시해야 한다. 어느 지역은 우리당의 마당이라는 생각도 무너지고 있다. 특정 당의 텃밭이라고 생각하며 선거구를 나눠 가지려 한다면 이는 오산이다. 특히 일부 선거법을 고쳐 행정구역 일부를 떼어 내 인접 선거구에 갖다 슬쩍 붙이겠다는 발상은 해당 지역민 누구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아직도 이런 구태의연한 자세로 나눠 먹기식 선거구를 획정하려고 하는 정치권에 믿음이 가질 않는다. 정치는 자신들을 위해서나 어느 특정 정당을 위해서 하는 게 아니다. 국민들을 대신해 국정을 잘 보살펴 달라고 권한을 위임 받은 사람들이다. 따라서 모든 법안을 다룰 때는 국민들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해야 한다. 세종시 선거구획정에 여야는 더 이상 꼼수를 부리지 말고 조속히 결론을 내야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