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에 사신도신앙·음양오행설 등 흔적

풍수의 본래적 의미에서 풍(風)은 기후와 풍토를 지칭하며 수(水)는 물과 관계된 모든 것을 뜻한다. 즉 풍수는 인류의 출현과 함께 자연스럽게 형성, 발전되어 온 땅에 대한 태도의 체계화라고 할 수 있다. 풍수라는 말이 오래 전부터 사용됐으나 중국 동진(東晉)의 곽박(郭璞)이 쓴 ‘장서(葬書)’에 바람과 물을 이용하여 기를 얻는 법술을 풍수라 일컫게 되었다는 것이 기록의 시작이다. 촌락 입지에서 도읍이나 마을의 자리 잡기, 집터 잡기, 물자리 찾기 등은 우리 민족을 포함한 북반구 중위도 지역의 민족들에게 배산임수·남면산록 같은 공통된 길지의 지리관이 확립됐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삼국 초기에는 자생적인 지리사상을 형성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경우 언제 어떻게 구체적인 이론으로 정립됐는지 분명히 알 수는 없으나 고대의 천부지모사상(天父地母思想)에 음양론이 가해지고 여기에 사신도(四神圖)로 대표되는 천문사상(天文思想)이 첨부되어 전국시대 말기부터 이론으로 정립되고 있다. 기원전 5~4세기에 도참비술적 사상이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한대(漢代)에 이르러 음양론이 본격적으로 도입됨으로써 풍수지리설이 정착되게 된다. 남북조시대에 이르러서는 한층 발전해 대가들이 많이 배출됐는데 이때 집터인 양택(陽宅) 위주의 풍수에 묘지 터인 음택(陰宅)이 추가된다. 그 뒤, 당·송·원·명·청대에도 수많은 풍수서와 유명한 풍수가가 출현했다.

권태달 부동산학 박사

우리 역사에서는 삼국시대에 사신도신앙·음양오행설, 그리고 점상술(占相術), 참위비기류(讖緯?記類) 등의 흔적이 있다. 고구려를 침공하였던 관구검(?丘儉)의 묘를 보고 당시의 유명한 음양가가 묘의 형태가 고독한 상형을 이룬 흉격이기 때문에 장차 멸족의 화를 당하리라는 예언 내용의 기록, 선덕여왕이 여근곡(女根谷)이라는 산 모양 때문에 백제의 매복군사를 발견하였다는 설화, 신라 제4대 탈해왕이 토함산 위에 올라 초사흗날 달처럼 생긴 지세를 보고 자기의 살아 갈 터라고 생각해 그곳을 사술로 빼앗은 이야기, 고구려·백제의 고분벽화에 사신도가 그려져 있다는 사실 등이 기록으로 나타난다. 특히 신라 원성왕 때에 중국의 ‘청오경’이 소개됐고 풍수지리가 우리 전통의 자생풍수와 중국의 영향을 받아 신라 말기 도선(道詵) 대사(大師)에 의해 본격적으로 정착되어 발전되기 시작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