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

지난해 이 맘때 서울 일산대교에서 발생한 14중 추돌사고에 관해 칼럼을 쓴 기억이 있다. 다리는 지열이 전달되지 않고 위아래로 부는 바람 때문에 다른 도로보다 기온이 몇 도 가량 낮게 측정된다.

특히 강이나 호수주변은 습도가 높고 야간에는 서리가 맺힌다. 일반도로의 경우 아침에 해가 뜨면 바로 녹아 없어지지만 다리 위에서는 해가 뜬 이후에도 몇 시간 더 서리가 남아있을 수 있다. 일출 시간이 7시 20분대로 도로가 충분히 햇볕을 쬐기도 전 복잡한 출근전쟁이 벌어지게 되고 급한 마음에 안전거리를 여유있게 두지 않으면 제동거리가 길어져 추돌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빙판길에서는 주의하면서 서리가 내린 노면은 크게 걱정하지 않는 운전자들이 있다. 서리가 내린 노면의 마찰계수는 빙판길과 비슷한 정도로 제동거리가 2배 이상 길어진다고 봐야 한다. 당황한 상태에서 핸들과 브레이크를 작동하게 되면 차량이 회전하면서 측면이 충돌, 부상의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보통 시속 100㎞ 주행 시 마른 노면의 제동거리는 40~45m 정도인데 전문 드라이버가 아닐 경우 50m 이상으로 길어진다. 특히 에코타이어의 경우 고무가 경화되면서 제동거리가 좀 더 길어지기 때문에 안전하게 60m로 예상하고 운전해야 한다. 여기에 서리가 내릴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동거리가 2배 길어지게 되므로 120m 가까이 밀리게 되는 것이다.

필자가 이런 수치를 말해주면 앞차도 미끄러지기 때문에 실제로는 100m까지 거리를 둘 필요가 없다고 나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지난 주 블랙아이스로 인해 발생한 다중추돌 사고를 보면 앞서 발생한 사고 현장을 눈으로 보면서도 차량이 미끄러지고 회전하면서 측면 추돌로 인해 중상자가 발생했다.

사고가 난 지역에 블랙아이스가 있었다는데 겨울철에 눈이나 비가 내릴 경우 낮동안 다소 포근한 기온에 눈이 녹은 후 아스팔트 틈새로 스며들어 있다가 야간에 기온이 떨어질 때 도로의 기름 및 먼지 등과 섞여 까맣게 얼게 된다. 까맣고 반짝반짝 하면서 눈에 잘 띄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블랙아이스라 부르는 것이고 이번 사고도 눈에 띄지 않는 얼음 혹은 서리로 인해 발생한 사고로 보도되고 있다.

블랙아이스는 가까이 다가가면 오히려 눈에 안 띄는 경우가 많고 다소 거리가 있을 때 TV 모니터처럼 검게 반짝이는 것이 보인다. 야간에는 반대차선의 라이트 불빛이 반사되는 정도로 구분할 수 있다. 블랙아이스가 발견되면 미리 차량의 속도를 낮추고 앞 차와의 거리를 충분히 유지한 후에 블랙아이스 구간은 가능한 브레이크나 핸들 조작 없이 조심스럽게 지나가는 것이 안전하다.

겨울철 차량 운전은 늘 조심스럽다. 지난주 사고 뉴스에서도 사고를 알리고자 노력하던 운전자가 크게 사고당할 것 같은 아찔한 순간이 있었다. 후방 차량들에게 속도를 낮추라고 신호를 보내는 노력과 용기는 고마운 일이지만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제어가 안 되며 미끄러지는 차량들로 인해 착한 운전자 한 분이 큰 일을 당할 뻔 했다. 장거리운전을 하면서 익숙하지 않은 지역을 통과할 때, 산악지역으로 접어들거나 그늘진 산모퉁이 도로를 이용할 때 전후좌우를 살핀 후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브레이크를 살짝 밟아 노면 상태를 미리 체크하고 조심스레 운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