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산 신도안 조선도읍 무산된 까닭

계룡산

계룡산 신도안은 풍수상 우리나라의 도읍이 될 수 있는 3대 명산 중의 하나이다. 한양의 지세인 물을 얻는 득수국(得水局)과는 다르게 개경의 지세와 유사한 사방이 산으로 둘러져 바람을 막아주는 장풍국(藏風局)으로 해석될 수 있는 곳이다. 계룡산과 그 주위 산천의 형세를 말하는 형국론적 이론을 말할 때 가장 자주 표현되는 말이 산태극수태극(山太極水太極)과 회룡고조(回龍顧祖), 금계포란(金鷄抱卵)이다.

산태극수태극이란 음양인 산과 물의 형세가 서로 태극의 형상을 이뤄 좋은 명당을 이루는 길지(吉地)라는 뜻이다. 먼저 산세를 보면 속리산에서 시작되어 남쪽 방향인 추풍령과 영동을 지나 무주의 덕유산으로 내려온 후 전북 진안의 마이산으로 방향을 바꾸어 북으로 다시 올라와 대둔산을 지나 계룡산으로 이어짐으로써 태극 모양의 형상이 된다. 수류(水流) 역시 금강의 줄기가 장수~진안~무주~영동~금산~대전~세종~공주~부여~강경을 거쳐 장항과 군산 사이로 빠지는 동시에 용추골 용동리의 명당수가 청룡의 뒤를 돌아 크게 우회해 금강에 합류하는 거대한 태극의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수태극이 된다는 것이다.

계룡산은 회룡고조(回龍顧祖)의 형세이다. 이는 용세가 머리를 돌려 원래 근원을 돌아보는 고조(顧祖)의 형세라는 관점이다. 특히 계룡산은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으로 금 닭이 알을 품는 형국을 의미하는데 닭이 알을 품을 때 머리를 돌려서 몸 안쪽으로 파고드는 형세와 같아서 명당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계룡산이 풍수상 도읍의 자리로 조선 초기에 지목됐으나 개성과 한양을 기반으로 하는 권력에 의해 잘못 해석돼 결국 무산됐다.

권태달 부동산학 박사

그들은 계룡산 신도안의 입지를 중국 호순신(胡舜申)의 ‘지리신법(地理新法)'에 비유해 “수파가 장생 방위라 반드시 망할 땅(水破長生 衰敗立至)”이라고는 해석할 뿐 아니라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함이 아니라 남방에 치우쳐 동·서·북 삼면과 떨어져 도리의 균형을 얻지 못하며 가까운 곳에 큰 하천이 없어 조운(漕運)과 용수(用水)가 불편하다고 했다. 또 해안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 그에 따른 불편함이 상당함은 물론 계룡산 연맥에 의해 깊게 둘러싸인 일종의 좁은 산곡 분지상 지세이기 때문에 국도로서는 개경이나 한양에 비길 바가 못 된다고 했다. 결국 조선의 도읍은 한양이 됐으나 그로부터 600년이 지난 현재는 계룡산 중심의 수도입지를 긍정적 관점으로 볼 수 있는 초석(礎石)을 세워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