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센터 발 빠르게 조성 필수 과제
일부 사회적경제 무관심도 극복 과제

[금강일보 김현호 기자] 다른 자치단체보다 늦게 싹을 튼 대전의 사회적경제는 나름의 성과를 거뒀으나 이면의 불편한 현실을 바로 잡아야 한다. 사회적경제혁신타운 조성이란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사회적경제지원센터를 통해 관련 기반을 다지는 게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이와 더불어 사회적경제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일부 시각을 개선해야 하는 숙제도 안고 있다.

대전은 정부청사와 연구단지가 위치해 안정된 소득구조를 가진 전형적인 소비도시다. 소비도시란 건 지역 내 자금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단 뜻이다. 거시적으로 사회적경제가 추구하는 맥락과 일치한다.

대전시는 지역화폐인 ‘온통대전’을 도입했고 제법 순항하고 있단 점에서 사회적경제가 안착할 수 있는 기반은 어느정도 갖춰졌다고 볼 수 있다. 기형적이긴 하나 사회적경제의 핵심인 예비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등을 지원하는 사회적경제지원센터를 건너뛰고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는 사회적경제혁신타운이 먼저 조성될 상황인 점은 안타깝지만 지원센터 조성을 위한 작업을 빠르게 착수할 수만 있다면 대전에서의 사회적경제는 꽃을 충분히 피울 수 있다.

지원센터를 통해 사회적경제를 기반으로 한 기업들이 다수 생기고 혁신타운으로 이들을 지원하면 시장에선 지역화폐로 이를 뒷받침하는 큰그림이 완성된다. 지원센터와 혁신타운, 온통대전의 삼위일체가 상호 작용한다면 사회적경제에 근거한 사회적기업, 예비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의 자립이 충분히 가능해진다. 이들의 자립은 궁극적으로 정부의 보조금에 매달리지 않게 되며 역외유출을 막는 동시에 사회적약자의 일자리 제공이란 공공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무엇보다 현장에선 대전시가 지금보다 사회적경제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사회적경제를 피할 수 없는 시류로 보고 육성하겠단 의지를 드러냈으나 추진 동력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았다는 거다. 사회적경제를 위한 정책 수립마저 꺼린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시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도, 허 시장도 사회적경제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나 일부의 경우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게 사실이다. 사회적경제에 대한 이해는 물론 관심도가 떨어지다보니 정부의 보조금을 확보하는 단기적인 가시 성과에만 집착한다. 이렇게 해선 절대 사회적경제가 지역 내 뿌리 내리기 힘들다”고 탄식했다.

대전의 사회적경제는 후발주자인 만큼 마중물을 충분히 공급하지 않으면 성장속도가 더딜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민간의 자생 능력이 다소 떨어진 상태에서 컨트론타워 역할을 맡아야하는 관의 의지가 중요하다.

대전의 한 사회적기업 관계자는 “대전의 사회적경제가 제대로 안착하려면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나름의 성과를 거둔 만큼 촉매제만 있다면 충분히 대전의 사회적경제는 꽃을 피울 수 있다”고 진단했다. <끝>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