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7곳·충북 5곳만 교육부 인가
“풀뿌리 사회적경제 토대 구축 기초”
전국 주목에도 지역선 뿌리 못내려

[금강일보 이준섭 기자] 전국 교육현장에서 학교협동조합이 마을과 학교의 만남의 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학교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 사회적 경제를 연계시키려는 시도가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는 것인데 정작 충청권에선 아직 채 뿌리를 내리지 못 하고 있다. 지역 교육현실과 여건에 맞는 학교협동조합 활성화가 절실한 이유다.

학생과 교사, 학부모가 지역민과 함께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학교협동조합이 교육현장의 이목을 끌고 있다. 지난 2013년 서울에서 시작된 학교협동조합은 경기 등 수도권을 넘어 전국 각지로 확산하며 설립 움직임이 본격화됐다. 초창기만해도 학교합동조합은 매점 운영, 교복, 친환경급식자재 공동구매, 통학버스 운행 등의 사안을 교육 구성원 공동의 노력으로 해결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졌으나 요즘은 학생들의 경제 체험은 물론이고 문제해결능력 함양을 비롯해 기업가정신 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장으로 각광받는 분위기가 짙다.

특히 학교협동조합은 사회적경제 인재양성 차원에서 정부가 나름 긍정적 효과를 불러 올 수 있는 정책도구로 제시하는 방안 중 하나다. 지난 2018년 노동부는 사회적경제 인재양성 종합계획에서 학교협동조합을 풀뿌리 사회적경제 토대 구축의 기초로 지목했고 같은 해 교육부도 학교 내 협동조합 지원계획을 발표, 시·도교육감에게 관련 권한을 위임하는 등 지역과 학교 현실에 맞춰 운영하도록 기준을 마련했다.

학교협동조합 설립은 충청권 교육현장에서도 이어지고 있지만 속도는 꽤나 더딘 실정이다. 충청권 교육청에 따르면 현재까지 지역에서 교육부 정식 인가를 받은 학교협동조합은 충남 7곳, 충북 5곳 등 12개교에 불과하다. 그나마 세종의 경우 최근 창립된 예다움 학교협동조합이 인가 작업에 착수했으나 대전은 초등학교 1곳과 고교 1곳에서 예비운영에 머물러 있다.

대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협동조합이 여러 부처가 얽혀있는 사업이라 제도적 측면의 어려움도 있고 현장에선 구성원의 이동이 잦아 연속성의 문제가 있다”며 “교육청 차원에서 세밀한 지원에 노력하고 있으며 현재 관련 사업의 국무총리실 산하로 이관을 논의 중이라 진행 상황을 보면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지역 교육계에선 학교협동조합이 당장은 학교 안의 소비나 생산 사업에 한정돼 있더라도 향후 그 범위를 확장할 잠재력이 충분한 만큼 교육적·지역적 가치 확산을 위한 교육당국의 노력이 계속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읽힌다.

대전의 한 교육분야 협동조합 관계자는 “직접적인 교육 당사자들이 머리를 맞대 스스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학교협동조합이 지닌 가장 큰 장점”이라며 “학생, 교사, 지역민이 민주적 의사 결정을 토대로 합리적 학교 운영의 모델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교육청이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