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양상·수법 등 빠르게 진화
딥페이크·지역화폐 깡도 등장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도 횡행

사진=연합
사진=연합

[금강일보 신성재 기자]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확산과 맞물려 디지털기기 이용과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사이버범죄가 독버섯처럼 번지고 있다.

11일 대전경찰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직거래 사기·이메일 무역사기·메신저 피싱 등 사이버범죄 발생 건수는 7012건으로 전년 동기(5576건) 대비 크게 늘었다. 충남도 사정은 비슷하다. 충남경찰청은 지난해 사이버범죄가 전년 대비 10~15%가량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사이버범죄는 새로운 양상으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지난해 말과 올해 초에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특정인의 얼굴, 신체 등을 합성한 영상을 만드는 기술인 딥페이크 등이 등장하며 사회적인 논란을 일으켰다. 최근에는 각 지자체에서 발행 중인 지역화폐의 QR코드(모바일)를 이용한 ‘깡’ 범죄가 발생하기도 했다. 사기범들은 대전·충남 지역민 1200여 명을 동원해 지자체에 등록한 유령 가맹점에서 허위 매출을 발생시켜 지역화폐 보조금 4억 7000여만 원을 편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과거 온라인 중고거래 사기범죄에 가담한 바 있는 박 모(40) 씨는 “온라인을 통해서면 어디서든 손쉽게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며 “사이버범죄 조직은 무직자·학생 등이 돈 없는 이들을 이용한다”고 털어놨다.

보이스피싱의 범죄 양상도 변하고 있다. 대전의 경우 올해 1~2월 보이스피싱 발생건수는 15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건 줄었지만 사기 규모가 커지면서 피해액은 14.3%(4억 원) 증가했다. 수법이 두드러지게 바뀌고 있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특히 보이스피싱 의심 신고 시 계좌 인출이 중단되기 때문에 ‘대면편취형’ 방식의 사기가 급증하고 있다. 전화나 모바일 등을 통해 사기를 벌이고 모집한 수급책을 통해 돈을 편취한다.

최근 보이스피싱 현행범을 검거한 유성서 노은지구대 박수환 경위는 “보이스피싱 범죄를 당한 경우 보통 돈을 되찾기 어렵다. 예방만이 최선인 이유다”라고 말했다. 기존 대출을 정부지원자금(생활자금)으로 저금리 전환 대출을 해주겠다는 사탕발림으로 문자 또는 전화로 접근하는 대출 사기 역시 횡행 중이다. 대출전문상담사 등 전문가를 사칭, 다양한 수법을 이용해 선량한 시민들로부터 돈을 편취하는 거다. 이달만해도 대전에서 이 같은 수법으로 6300여만 원의 피해액이 발생하기도 했다.

대전경찰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수법이 어떻게 진화될지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여러 가지 핑계로 결국 돈을 요구하는 경우 사기일 가능성이 높으니 주의를 부탁한다”고 신신당부했다.

신성재 기자 ssjreturn1@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