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일상생활 맞춰 교육하지만
학교, 안전교육 인프라 미흡 등 한계

[금강일보 김지현 기자] 세월호 참사 7주기를 맞아 교육당국이 추모·안전주간을 운영하고 있는 가운데 학교에선 여전히 이론에 치우친 안전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어 아쉬움의 목소리가 들린다. 교육과정과 연계한 안전교육을 비롯해 실생활 안전교육 등을 펼치고 있지만 인프라 부족에 코로나19까지 더해지면서 학교에선 달리 선택지가 없다는 한계지점이 엿보인다.

세월호 참사가 어느덧 7주기를 맞는다. 지난 2014년 4월 16일 수많은 인명 피해를 낳은 세월호 참사는 이 땅의 안전불감증 현주소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무엇보다 안전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되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됐고, 교육현장은 세월호 계기교육과 수상사고 발생 시 학생 스스로의 보호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생존수영 등을 도입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재난, 교통 등에 대한 안전교육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2일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학교안전교육 실시 기준 등에 관한 고시’에 따라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교별 생활안전, 교통안전,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약물 및 사이버 중독 예방, 재난안전, 직업안전, 응급처치 등 7개 영역을 중심으로 1년간 51차시의 안전교육을 해야 한다. 해당 주제들은 교육과정과 연계해 이뤄지고 있으며 교육과정 범위 밖에서 체험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다. 특히 초등학생 1~2학년의 경우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한 생활’ 교과가 별도로 마련돼 안전교육을 받고 있다.

그러나 안전교육은 주로 이론에 치우쳐 있고, 인프라가 미흡한 실정이다. 교육과정과 연계한 자료가 부족한 것이다.

대전 A 중학교 교사는 “시기가 시기이니 만큼 학생들에게 안전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학교 차원에서도 교내 시설점검을 하고 교사들도 교과별로 안전교육을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안전교육이 비대면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메뉴얼에 맞춰 교사들이 자율적으로 안전교육할 것을 권하고 있지만 자료 등이 부족하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상황은 초등학교도 마찬가지다. 대전 B 초등학교 교사는 “학교에서 체험 중심의 안전교육을 하기 어렵다. 교문 밖을 나서는 순간 또다른 안전사고의 우려가 뒤따른다”며 “여러 기관의 전문가들이 학교를 방문해 체험활동을 제공하지만 코로나19로 이마저도 쉽지 않다. 체험교육이 효과는 좋겠지만 기회가 적다. 인프라가 부족한 현실이다”고 아쉬워했다.

대전교육청은 학교 현장에 보다 폭넓은 안전교육 자료들을 제공하고,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울 수 있는 교육을 펼치겠다는 입장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안전교육은 특별한 날에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실생활 안전교육이 중요해 매일 5분 안전교육 등의 틈새를 이용한 안전교육을 하도록 안내하면서 의식 제고를 하고 있다”며 “학교안전정보센터를 통해 자료를 안내하고 학교안전주간, 안전 체험의 날, 학교 안전점검의 날을 운영해 안전 관련 각종 캠페인 등을 하도록 돕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지현 기자 kjh0110@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