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7년 국립서울현충원으로 이전
반환에 회의적인 현충원 설득 관건
대전시 “협의 통해 반환 이뤄낼 것”

1952년 대전역 앞의 을유해방기념비(가운데)와 양쪽의 해태상. 대전역은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무너져 임시로 지은 모습이다. 육군 제공
1952년 대전역 앞의 을유해방기념비(가운데)와 양쪽의 해태상. 대전역은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무너져 임시로 지은 모습이다. 육군 제공

[금강일보 이준섭 기자] <속보>=을유해방기념비(乙酉解放記念碑) 이전과 함께 국립서울현충원으로 옮겨진 해태상 반환 요구도 거세지고 있다. 고향을 떠난 해태상까지 제자리로 돌려놔야 을유해방기념비의 제대로 된 이전이 가능하다는 이치에서다. <본보 9월 9일자 1면 등 보도>

지난 1957년 국립서울현충원으로 옮겨진 을유해방기념비의 단짝, 해태상의 귀환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해태상은 1946년 을유해방기념비를 좌우로 수호하는 형태로 세워졌으나 서울로 이전됐다. 현재 해태상은 한국전쟁 당시 각 지구 전투에서 싸우다 전사한 7000여 명의 학도의용군을 추모하는 서울현충원 내 무명용사탑 입구 좌우에 자리잡고 있다. 당초 광복 1주년의 기쁨을 함께 누리고 다시는 뼈아픈 역사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각오로 시민들이 대전역 광장에 올려세운 을유해방기념비를 수호했던 그 역할과는 전혀 다른 의미로 보존되고 있는 셈이다.

잊히는 듯했던 해태상은 최근 을유해방기념비 이전 움직임과 맞물려 대전시의회가 제261회 임시회에서 반환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면서 재조명되고 있다. 결의안을 제안한 더불어민주당 홍종원 의원(중구2)은 “을유해방기념비를 접근성 좋고 시민, 학생들의 교육과 역사적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곳으로 제대로 이전시키려면 마땅히 본래 하나였던 해태상도 돌려받아야 한다”고 강하게 말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이와 관련한 시정질문에서 “을유해방기념비와 한 쌍인 해태상을 국가보훈처 등과 협의를 거쳐 다시 재이관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문제에 대해 적극 검토하겠다”고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그러나 시의회 차원의 이번 결의안이 해태상 반환을 위한 첫 단추인 까닭에 갈 길은 산 넘어 산이다. 당장 해태상 반환에 회의적인 서울현충원을 설득하는 것이 관건이다. 현안 해결에 주도적으로 나서야 할 대전시가 혜안을 발휘해야 하는 이유다. 서울현충원 관계자는 “해태상은 서울현충원 학도의용군 무명용사탑과 상징적 측면에서 일체(一體)를 이루고 있어 분리가 곤란하고 50여 년간 역사적 가치가 더해져 존속가치가 매우 높다”며 “또 공식 참배 행사와 대국민 교육의 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요 참배 시설로 현재 반환 검토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시는 을유해방기념비와 함께 해태상이 문화재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만큼 신중한 접근으로 반환 노력을 전개하겠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서울현충원에서의 해태상이 가지는 의미도 적지 않기 때문에 쉽진 않으나 대전으로의 반환 필요성을 충분히 설명했고 계속 협의하면서 설득을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