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X에 예치한 가상화폐·현금 인출 불가능
국내거래소 연쇄파산시 투자자 피해↑
“소비 규모 작아도 소비 범위 넓어 지역내수↓”

▲ 세계 3대 가상화폐 거래소 FTX의 파산 신청으로 비트코인 등의 가상화폐 가격이 급락세를 보이는 14일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 전광판에 가상화폐 시세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거래량 기준 세계 3위인 글로벌 가상화폐거래소 FTX가 지난 11일(현지 시간) 파산을 신청해 ‘코인판 리먼브러더스 파산 사태’가 현실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를 기점으로 가상화폐업계에 유동성 위기가 확산될 경우 해당 투자가 많은 충청권 20·30 청년들의 자금난이 깊어져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리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근 FTX는 미국 델라웨어주(州) 법원에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 부채 규모만 가상화폐업계 역대 최대인 66조 원에 달한다. 이는, 앞선 7일 세계 1위 가상자산거래소 바이낸스가 보유한 FTX 자체 코인(FTT)을 전량매도 선언함으로써 뱅크런(대규모 인출 사태)이 벌어진 데 따른 것이다. 문제는 FTX를 통해 가상자산을 거래해온 국내 개인투자자만 최소 1만 명 이상이라는 데 있다. 현재 FTX에서 구매한 암호화폐와 입금한 현금 모두 동결돼 피해가 걷잡을 수 없는 상태다. 그런데도 암호화폐 특성상 충청권 개인투자 규모가 얼마인지 파악조차 어렵다.

FTX 비거래 투자자도 안전하지 않다. FTX발 쇼크에 가상화폐 위믹스를 발행하는 국내 게임회사 위메이드의 주가마저 급락했기 때문이다. 이는 자체 코인을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하는 코인업계에 신뢰가 떨어졌다는 신호로 읽힌다. 암호화폐 관계자는 “저금리를 바탕으로 투자 열기가 모였을 때는 회사와 코인 기술이 탄탄하지 않아도 자체 발행 코인에 많은 투자가 이뤄졌는데 기준금리 인상으로 유동성이 줄어들자 시장의 냉철함이 발동됐다”며 “국내·외 코인의 투자 회수가 잇따를 경우 업비트, 빗썸 등 국내 거래소도 파산을 맞이하지 말라는 법이 없다”고 경고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 하원에서 가상자산 기업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목소리가 뒤따라 암호화폐업계 유동성 위기는 확산될 조짐이다.

암호화폐의 몰락은 청년들의 붕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국세청의 연령별 소득현황에 따르면, 0~29세 배당소득이 2019년 귀속 1조 2546억 원에서 2020년 귀속 2조 9742억 원으로 137.1% 급증한 반면, 같은 기간 근로소득 증가율은 1.3%에 불과해서다. 즉, 주식보다 암호화폐 투자가 많은 청년들의 특성상 FTX 사태는 지역청년들의 자금난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대전의 한 경제학 교수는 “기준금리 줄인상 기조로 이미 주식·암호화폐가 급하락해 손실이 만만치 않은 상황에서 국내 거래소까지 연쇄 파산할 경우 남은 자금까지 동결되는 위기로 번질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소비 규모는 작아도 소비 범위가 광범위한 청년층의 씀씀이가 줄면 지역 내수가 깊은 침체에 도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즉, 정부가 암호화폐업계의 연쇄 파산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는 게 경제학계의 중론이다. 

정은한 기자 padeu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