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 상승 전환 이후 폭 커져
가파른 금리 상승 여파, 향후 부실 가능성도 높아져

그간 ‘착시효과’라는 지적이 나오던 시중은행 주요 대출 상품의 연체율에 금이 가고 있다. 연이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급증하면서 가계와 기업의 부실이 수면 위로 떠오르는 모양새다. 정부 지원책 종료와 함께 경기 침체가 본격화한다면 금융 부실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12월 기준 가계 및 기업대출 연체율 평균은 9월 말 대비 모두 상승했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 평균은 9월 0.18%에서 12월 0.24%로 0.06%포인트, 중소기업의 경우 같은 기간 0.05%포인트(0.23→0.28%), 대기업도 0.01%에서 0.02%로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 평균은 지난해 9월 0.16%에서 12월 0.19%로 0.03%포인트 상승했다. 이중 주택담보대출은 같은 기간 0.12%에서 0.15%로 0.03%포인트, 신용대출은 0.24%에서 0.28%로 0.04%포인트 각각 늘었다.

연체율 규모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나 상승세로 전환됐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특히 지난해 상반기에는 연체율에 변동이 없거나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으나 하반기부터 상승세로 전환됐고 연말부터 서서히 그 폭이 커지는 모습을 보인다.

최저수준을 유지하는 은행권 연체율에 대해 ‘금융당국의 코로나19 지원책인 만기연장·상환유예 등으로 인한 착시효과’라는 분석이 그간 꾸준히 제기돼 온 상황에서 기준금리의 연이은 인상과 맞물린 연체율 상승은 가계와 기업이 한계까지 내몰렸다는 방증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여전히 연체율 수준이 매우 낮아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라면서도 “코로나19 사태 이후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각종 지원이 집중됐음에도 최근의 금리 인상에 따른 부담을 버티지 못하고 연체하는 이들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제는 향후 경기 침체가 본격화한다면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나아가 금융부실로 번질 수 있다는 점이다.

한은이 지난해 말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는 대출 금리 상승세가 이어지고 매출 회복세 둔화, 금융지원정책 효과 소멸 등이 겹치면 자영업자대출 중 부실 위험 규모가 올해 말 40조 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정됐다. 금융안정보고서는 “자영업자대출 부실위험 축소를 위해 취약차주의 채무 재조정을 촉진하고 정상차주에 대한 금융지원 조치의 단계적 종료, 만기 일시상환 대출의 분할 상환 대출 전환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길상 기자 pcop@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