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 후불결제 연체율 3%, 네이버페이도 2%
후불결제 연체정보 공유 안돼 악용 소지도

은행권 연체율 상승과 함께 네이버와 카카오, 토스 등 후불결제(BNPL) 서비스를 제공하는 빅테크 업체의 연체율이 오르고 있다. 더욱이 연체 정보 공유가 제한되다 보니 이용자의 부채 심화 문제도 지적된다.

후불결제 서비스와 신용카드의 큰 차이점은 결제 한도 산정방식에 있다. 신용카드의 경우 소득과 신용점수 등의 금융정보를 중심으로 결제 한도를 부여하지만 후불결제 서비스는 금융정보 이외의 비금융 정보 등을 활용한 대안 신용평가로 결제 한도를 정한다. 이 때문에 금융소외계층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국내에선 네이버와 카카오, 토스 등 빅테크업체를 중심으로 성장했고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관련 시장이 급격히 커졌다. 지난해 8월 기준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토스 등 3사의 후불결제 이용액은 281억 8000만 원으로 두 달 새(6월 말·202억 5940만 원) 39% 늘어난 수준이다.

문제는 연체율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8월 말 기준 후불결제 서비스 연체율(30일 이상 연체된 금액 비율)은 최대 1%대 중반을 기록했다. 네이버파이낸셜의 후불결제 서비스 연체율은 1.48%로 전년 말(0.65%) 대비 배 이상 늘었고 토스도 1.15%를 기록했다.

지난해 9월 말 신용카드 평균 연체율(0.87%)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더욱이 빅테크 후불결제 연체율은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네이버파이낸셜 후불결제 서비스 연체율은 지난해 12월 말 2.14%로, 토스는 3.48%로 증가했다.

물론 후불결제의 경우 기간에 관계없이 상환 전까지 계속 연체율에 포함되기 때문에 연체가 일정 기간을 넘을 경우 연체율 계산에서 제외(상각처리)하는 카드사와 단순비교는 어렵다고는 하더라도 고금리·고물가의 여파가 후불결제 연체율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금융소외계층이 금융 이용 기회를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후불결제 이용자 연체 정보를 다른 금융회사와 공유할 수 없고 후불결제를 연체해도 개인신용평가에 반영하지 못하게 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이용자 부채가 빠르게 늘 수 있고 금융부실의 또 다른 뇌관이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후불 결제사가 연체 사실을 인지할 수 없다는 것을 악용해 연체를 방치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며 “후불결제 서비스의 연체율 관리를 위해 금융당국의 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길상 기자 pcop@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