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0.25%p 인상, 속도조절 나서
소폭이나마 오른 물가에 한은 베이비스텝 가능성도

고강도 긴축을 펼치던 미 연준(Fed)이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달 기준금리 결정을 앞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고심이 깊어져 간다. 나날이 커지는 경기침체 우려와 9개월째 5%대 이상을 유지하는 물가상승률 등 고려해야 할 중대 사항이 넘치는 까닭이다.

미 연준은 1일(현지시간) 올해 첫 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인플레이션은 완화했지만 여전히 너무 높다.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인 하향 곡선이라고 확신하려면 상당히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하다”며 당분간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방침을 확인했다.

연준이 긴축기조를 이어갈 방침을 공고히 함에도 시장에서는 금리 인상이 어느 시점에 멈출지에 관심이 쏠린다. 올해 들어 물가 상승세가 안정을 찾아가고 있고 지나친 통화 긴축이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졌기 때문이다. 더욱이 제롬 파월 의장이 처음으로 ‘물가 둔화(디스플레이션)’을 언급함에 따라 금리 인상이 사실상 종결됐다는 분석까지 나온다.

문제는 우리 기준금리다. 한은 금통위은 오는 2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 예정이다. 시장의 예상은 ‘동결’에 무게가 실리는데 이는 원·달러 환율이 안정세를 보이고 시장금리 하락, 경기침체 우려 등에 따른 것이다. 지난달 금통위 회의에서도 위원 6명 중 4명은 금리인상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물가상승률이 현재의 전망대로 둔화 흐름을 이어간다면 실질금리의 상승에 따른 경기 부진 및 금융안정 리스크 측면의 부담을 감안해 추가 인상 여부를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견해였다.

그러나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5.2% 오르면서 고민이 깊어진다. 지난해 5월 전년 동월 대비 5.4% 오른 소비자물가는 6월(6.0%)·7월(6.3%)에 이어 6개월째 5%대를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소폭이나마 물가 상승폭이 커졌다는 점과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향후 물가 상승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고물가 흐름이 더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욱이 한미간 금리차가 확대된 점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른 지난달 금통위 회의에서 위원 4명이 찬성표를 던졌다”며 “금통위가 통화 긴축을 이어가는 건 물가를 잡기 위함이 가장 큰데 물가상승세가 여전하다 보니 추가 인상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조길상 기자 pcop@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