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긴축 장기화 우려에 채권금리 상승
부실 우려 큰 다중채무자 증가와 맞물려
경제 부실 뇌관 될수도

기준금리 동결에도 은행권 대출금리가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역대급 돈 잔치에 가산금리 자진 인하 등으로 내렸던 금리가 미국의 통화 긴축 장기화 우려에 따른 채권금리 상승, 은행별 금리 산출 방식 차이 등이 겹친 영향이다. 금리 인상기 부실 가능성이 큰 다중채무자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3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4.410∼6.522% 수준이다. 한 달 전과 비교해 하단 금리가 0.280%포인트 올랐는데 같은 기간 지표금리인 은행채 5년물 금리가 0.589%포인트(3.889%→4.478%) 뛰었기 때문이다. 신용대출 금리(은행채 1년물 기준·연 5.420∼6.450%)도 한 달 새 하단 0.270%포인트, 상단 0.140%포인트 상승했다. 은행채 1년물 금리 상승(0.391%포인트) 영향이다.

더욱이 대출금리는 향후 오를 가능성이 크다. 시장금리와 예금금리가 전반적으로 오르는 추세인 만큼 시차를 두고 코픽스 등에도 상승분이 반영돼 고정금리뿐만 아니라 변동금리도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게 은행권 관계자의 설명이다.

문제는 다중채무자 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는 점이다. 3곳 이상의 금융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는 ‘빚을 빚으로 돌려막기’ 하는 경우가 많아 금리 인상기 부실 가능성이 큰 취약 채무자로 분류된다.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서울 강동구갑)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전체 다중채무자는 447만 3000명으로 2018년 3분기(417만 2000명) 대비 7.2% 늘었다. 특히 다중채무자 10명 중 3명은 30대 이하 청년으로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이 1억 1158만 원에 달한다. 금리 인상에 대출 상환 부담이 급격히 늘어나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청년층뿐만 아니라 60대 이상 다중채무자도 57만 명이며 이들의 대출 잔액은 73조 4000억 원이다. 40대(134만 7000명)는 195조 3000억 원, 50대(116만 6000명)는 165조 8000억 원의 빚을 지고 있다. 진 의원은 “다중채무자가 급격히 증가한 상태로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해 자산건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며 “취약차주 지원을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정책금융 확대 등을 통해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길상 기자 pcop@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