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는 낮지만 점진적인 오름세
조달금리 상승, 부동산 경기 악화 등 부실 리스크↑

저축은행
저축은행

금융권 연체율이 들썩이고 있다. 수치 자체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나 점진적인 오름세를 보인다는 점에서, 특히 중저신용자를 중심으로 대출을 취급하는 저축은행과 대부업계 등 2·3금융권에서 건전성 악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 부실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진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 평균은 지난해 9월 0.16%에서 12월 0.19%로 0.03%포인트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은 같은 기간 0.12%에서 0.15%로 0.03%포인트, 신용대출은 0.24%에서 0.28%로 0.04%포인트 각각 늘었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 평균도 9월 0.18%에서 12월 0.24%로 0.06%포인트, 중소기업의 경우 같은 기간 0.05%포인트(0.23→0.28%), 대기업도 0.01%에서 0.02%로 올랐다.

지난해 2분기 2.6% 수준이던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평균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3.0%로 뛰어올랐다. 연체 금액도 3조 4344억 원으로 전 분기(2조 9772억 원)보다 4500억 원가량 증가했다. 저축은행 합산 연체액이 3조 원을 넘어선 건 2016년 6월 이후 약 6년 만이다. 또 지난해 3분기 전체 저축은행의 고정이하부실여신액은 4조 1463억 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3조 8219억 원) 대비 3200억 원가량 늘었다. 고정이하부실여신은 전체 대출금 중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부실채권을 의미한다.

대부업계 상황은 보다 심각하다. 지난해 1월 4.8%던 대형 대부업체(25곳) 담보대출 연체율은 같은해 12월 10.2%까지 치솟았다. 부동산 경기 하락 영향인데 대부업계의 담보대출 연체율이 통상 5∼6% 수준임을 고려하면 건전성이 크게 악화했다는 의미다. 아울러 자금 조달에도 어려움을 겪다보니 대부업계는 신규대출을 전면 중단하거나 취급 규모를 줄이는 선택을 하고 있다.

연체율이 서서히 오름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고금리 기조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임에 따라 금융권에선 결국 보수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오르기 시작한 지난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수신금리를 올리는 등 출혈경쟁에 나섰으나 남은 건 수익성 악화뿐”이라며 “올해는 리스크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대부업계 관계자도 “법정최고금리(20%)가 묶인 상태에서 조달 비용은 나날이 오르고 부동산 경기까지 악화해 어려움이 큰 상황”이라며 “당분간 담보대출은 물론 신용대출 취급도 중단하는 등 보수적인 운영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길상 기자 pcop@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