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형 천원의 아침밥 사업이 눈에 쏙 들어온다. 우선 지역 대학생들에게 든든한 한 끼를 차려주겠다는 취지가 대견하다. 나아가 지역 농축수산물 사용을 조건부로 1000원을 추가 지원함으로써 지역 물산 소비를 장려하는 동시에 재정 여력이 신통찮아 참여를 주저하는 대학의 부담을 덜어주는 배려의 발상이 기특하다. 한 가지 정책이 지역을 충실히 관통하는 좋은 사례로 남을만하다.

충남도는 20일 올 상반기 중 대학과 함께 ‘충남형 천원의 아침밥’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보편화된 천원의 아침밥 앞에 충남형이라는 수식을 단 것은 차별성에서다. 1식 기준 학생이 1000원을 내면 정부가 1000원을 매칭하고 나머지는 대학이 도맡는 정부의 그것과는 별개면서 한술 더 얹은 확장판이니 자격 있다.

충남형 천원의 아침밥은 참여를 원하는 대학에 기본적으로 한 끼당 1000원을 지원하고 지역 식재료를 사용할 경우 1000원을 추가 지원하는 방식이다. 농림축산식품부 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은 최대 3000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구미가 당길만한 것이 그동안 정부 사업엔 자부담으로 인해 참여하는 대학이 적었다. 1차 공모에서 관내 29개 대학 중 공주대 등 4곳만이 참여 의사를 밝혔고 현재 진행 중인 2차 공모에도 10곳 정도만 응한 상태다. 모두 합해야 전체 대학의 절반이 채 안 된다.

자연히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대학생들이 적잖고, 따라서 바람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대학들은 가시방석일 터다. 진입이 수월해졌으니 충남도의 선의를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해도 과하지 않을 것이다. 똑같은 밥이지만 의미도 더 깊다. 정부 정책이 대학생의 아침 식사 습관화와 쌀 소비 확산이라는 일석이조 효과라면 충남의 구상은 거기에 더해 지역 농축수산물 인식 제고와 소비 활성화라는 기대 효과까지 도모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혹자는 천원의 아침밥을 두고 MZ세대 맞춤형 총선 패(牌)라고 핀잔한다. 선심성 논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고물가의 처마 밑에서 끼니를 때우는 게 버거워진 대학생들이 단돈 1000원으로 기력을 충전할 수 있다면 그런 선심은 후하게 쳐도 괜찮다. 지속성을 담보하면 일시적 선심도 진심이 되기 마련이다.

문제는 따로 있다. 사업이 확산할수록 참여하지 못하는 대학은 궁지로 몰리고 해당 대학 재학생들은 심리적 허기를 감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선 충남도가 보편적 복지와는 방향과 결이 다른 자치단체의 역할을 선보였다고 본다. 이 역시 진정성은 지속에 있다고 하겠다. 또 다른 사각지대인 또래 미진학 청년들의 소외감을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는 청년 친화적인 정부가 떠안아야 할 숙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