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서해로 위성 탑재 발사체 발사
대피 지시 문자에 시민들 “어디로”
사태 계기로 지자체 대피안내 점검해야

▲ 북한이 31일 오전 6시 29분경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이날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학생들이 수학여행을 떠날 준비를 하고 있다. 행안부는 “서울특별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이라고 정정했다. 연합뉴스

누군가는 벌써 출근 준비를 하고 있고 누군가는 단잠에 빠져있던 31일 오전 6시 41분. 서울시는 ‘오늘 6시 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위급재난 문자를 보냈다.

22분 뒤인 오전 7시 3분 행정안전부는 ‘6시 41분 서울특별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림’이라는 내용의 위급재난 문자를 보내고 오전 7시 25분 서울시가 ‘북한 미사일 발사로 인해 위급 안내문자가 발송됐습니다. 서울시 전지역 경계경보 해제됐음을 알려드립니다. 시민 여러분께서는 일상으로 복귀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문자를 다시 발송했다. 경계경보에 대한 체계가 허술했던 게 드러났고 휴전 국가인데도 대피 관련 정보가 대중적으로 공유되지 않은 게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31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날 북한은 서해 방향으로 위성을 탑재했다고 주장한 발사체를 발사했다. 북한이 위성을 탑재했다고 주장한 발사체를 쏜 건 지난 2016년 2월 7일 광명성호 이후 7년 만이다. 이에 행안부는 적의 공격이 예상될 때 발령하는 경계경보를 인천 백령면과 대청면에 발령했다.

서울은 행안부가 발령한 경계경보 지역에 해당하지 않았지만 서울시는 상황의 긴박성을 고려해 대피를 알리는 문자를 전송했다. 문제는 대피를 알리는 문자에 대피시설의 위치 등 구체적인 정보가 전혀 없었단 점이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시민은 대피를 어디로 해야 할지 몰라 우왕좌왕했고 구체적인 상황과 함께 인근 대피시설을 알아보려 했던 이들은 모바일로 포털사이트에 접속했지만 과부하로 인한 접속 장애 때문에 혼란을 겪어야 했다.

채진 목원대 소방안전학부 교수는 “서울엔 지하철역사란 훌륭한 대피시설이 많지만 대전 등 충청권은 그렇지 않다. 비상시 자치단체의 알림 등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 한반도는 전쟁이 끝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이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모든 자치단체는 비상 상황 발생 매뉴얼을 점검하고 대피시설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대전시는 대피시설에 대한 정보를 시민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활동에 나서는 한편 대피시설을 점검하고 안내표지판이나 유도표지판도 주기적으로 교체해 비상시를 대비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대전엔 모두 730여 곳의 대피시설이 있고 주기적으로 관리하며 대피시설 현황을 시민에게 홍보하고 있다. 더 많은 시민이 대피시설과 대피 방법을 알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