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 형태 제각각 기준 정립 어려워
장기간 고립 고독사, 극단선택까지
지역사회 연계 발굴·조기개입 관건

사진=대전시청
사진=대전시청

<속보>=최근 ‘대전시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안’이 가결된 가운데 은둔형 외톨이의 기준을 명확하게 정립해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됐다. 은둔형 외톨이의 경우 고립하는 방식이 개인별로 차이를 보이고 원인 역시 복합적인 까닭에 현황 파악, 지원 방안에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본보 4월 20일자 3면 등 보도>

최근 국민의힘 민경배 대전시의원(중구3)이 발의한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안이 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에서 원안 가결됐다. 조례안은 한정된 공간에서 일정 기간 이상 외부와 단절된 채 생활해 사회 활동이 어려운 이들을 위한 것으로 은둔형 외톨이 지원을 위한 기본계획 5년 간격 수립, 관련 연구 및 발견·상담, 경제적 자립 교육·훈련, 문화·예술·체육활동 지원, 보호자·가족 등에 대한 상담·교육 등 지원사업 내용이 담겼다.

조례 마련으로 대전에서도 은둔형 외톨이를 찾아 지원할 수 있는 근거가 광주에 이어 마련됐지만 여전히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광주에 이어 대전은 물론 전국 자치단체가 은둔형 외톨이 지원을 위해 준비하고 있으나 범위를 어디까지 볼 것이냐를 두고는 여전히 의견이 분분하다.

광주시은둔형외톨이지원조례에 따라 지난해 5월 전국 최초로 문을 연 광주은둔형외톨이지원센터 관계자는 “은둔형 외톨이의 기준을 명확하게 정하기 어렵다. 이는 진단명이 아니기 때문이다. 조례에 기록된 내용을 토대로 자가 진단을 하고 은둔의 심각성을 분석해 복합적인 원인에 대해 면담을 제공하거나 관련 기관으로 연계해 주고 있다”라고 말했다.

은둔형 외톨이의 정확한 기준이 없다 보니 지역마다 기준을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 집과 같이 한정된 공간에서 외부와 단절한 채 지낸 기간이 6개월 이상일 경우로 특정하는가 하면 3개월 이상을 기준으로 하는 곳도 있다. 여기에 더해 은둔형 외톨이가 된 이유에는 사회·경제적 요인, 실업, 건강상의 이유 등 복합적인 탓에 행동 특성도 모두 다르게 표출돼 이 같은 고민은 더욱 커지고 있다. 대전시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안이 나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전문가는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에 대한 고민과 함께 사회복지서비스원 등 지역사회와 연계해 은둔형 외톨이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우수정 대전청년내일센터장은 “은둔은 하나의 증상이고 18~25세 청년이 가장 많다. 이 시기에 증상을 회복하지 못하면 고립돼 극단적 선택으로도 연결된다. 발굴 후 조기 개입이 굉장히 중요하다. 은둔형 외톨이가 된 원인이 다양한 만큼 전문시설도 필요하지만 지역의 유관기관과 연계도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kjh0110@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