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연구원, 자체 개발 소멸지수 활용 조사
고령자·의료·일자리 등 맞춤 대응대책 제안

▲ 마을소멸지수를 적용한 충남 농촌마을 실태. 충남연구원 제공

충남연구원은 최근 자체 개발한 '마을소멸지수'를 활용해 충남 전체 4394개 행정리를 조사한 결과 ‘소멸위기마을’로 분류되는 곳이 전체 32%인 1408개로 나왔다고 26일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기존 지방소멸위험지수가 읍면동 중심의 지표라면 연구원이 개발한 마을소멸지수는 농촌마을(행정리)을 대상으로 한 지표라는 점이 다르다. 이번 연구의 책임자인 윤정미 선임연구위원은 "마을소멸지수는 지방소멸위험지수에서 사용한 자연적 인구 증감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구 증가 요인(전입인구수), 마을소멸속도 조절(인구 구간별 가중치) 등의 지표들로 구성돼 보다 농촌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을소멸지수를 적용한 결과, 충남 15개 시·군의 소멸위기마을(마을소멸 고위기+위기)은 총 4394개 중 1408개로 32%에 해당한다. 마을소멸 진입단계까지 포함하면 62.1%로 나타났다. 이는 행정리 마을이 없는 동지역은 분석에서 제외된 결과다.
시·군별로는 서천군이 63.5%로 소멸위기마을 비중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부여군 56.4%, 홍성군 45.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지역은 계룡시 2.8%, 천안시 11.8%, 아산시 12.7%였다.

윤 선임연구위원은 “충남 농촌마을 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의 핵심은 농촌의 공간적·기능적 재편과 사람 중심의 활력 되살리기 정책이라 말할 수 있다”며 “고령자 돌봄, 의료 사각지대 해소, 생활(관계)인구 확보, 도시와 농촌의 소통, 정주여건 개선 및 일자리 창출 등에 기반해 단계별 마을소멸지수에 맞는 맞춤형 대응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내포=최신웅 기자 csu@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