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전체 마을 중 32%가 소멸 위기에 놓였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소멸 진입단계에 있는 마을도 30%에 달해 상황은 훨씬 더 심각하다. 이대로 방치한다면 얼마 안 있어 충남도 내 다수의 마을이 사라질 것으로 우려된다. 절박한 심정으로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26일 충남연구원 윤정미 박사에 따르면 도내 4394개 행정리 중 1408곳이 소멸 위기 마을로 분류됐다. 마을 내 20~44세 여성과 전입 인구를 더한 뒤 이를 70세 이상 인구 수로 나누고 여기에 인구 가중치(0.5~2.5)를 곱해 마을별 소멸지수를 도출한 결과다.
소멸지수는 고위기·위기·진입·보통·낮음·매우 낮음 등 6개 단계로 세분화했는데, 고위기 마을이 337개(7.7%), 위기 마을이 1071개(24.4%)로 집계됐다. 여기에 소멸진입단계에 있는 마을 1320개(30.0%)까지 더하면 도내 전체 마을 중 60% 이상이 소멸 위기 상황에 직면하고 있는 셈이다.
시군별 고위기·위기마을 비중은 서천이 63.5%로 가장 높았고 부여 56.4%, 홍성 45.7%, 예산 38.9%, 서산 37.8%, 청양 37.7% 순이었다.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은 계룡(2.8%), 천안(11.8%), 아산(12.7%)이었다. 농어촌 지역 마을의 소멸 위기가 더 심각함을 보여준다.
전반적인 출산율 감소와 함께 청장년 인구의 유출, 주민 고령화 심화로 농어촌 지역의 소멸위기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 농촌 고령화율은 30%에 육박할 정도로 초고령화 시대를 맞고 있는 가운데 인구 증가를 위한 출산과 유입 유인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2022년부터 지방소멸대응기금을 매년 1조 원씩 마련해 10년간 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배분하고 있다. 여기에 민간 재원과 연계해 3조 원 규모의 지역활성화투자펀드를 조성해 지방소멸 대응 관련 대규모 사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그렇지만 이런 정부의 정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둘지는 의문이다.
이런 재정 지원과 함께 다각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미래 인적 자원 확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접근이 있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이를 위해 농촌형 경제활동 육성과 서비스 개선, 인적 자원 확충 등을 위한 전략적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지금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추진 중인 은퇴자, 귀농 청년들의 유인책을 더 강화해야 한다. 이와 함께 도시지역 주민과 연결고리를 기반으로 하는 관계 인구 창출 전략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 또한 고려인 마을 조성 등 재외동포 이주 정책도 적극 펼치는 등 다각적인 소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