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7년 국립서울현충원으로 이전
대전시의회 반환 촉구 결의안 채택
공론화 소식에 시민사회도 반색

​1952년 대전역 앞의 을유해방기념비(가운데)와 양쪽의 해태상. 대전역은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무너져 임시로 지은 모습이다. 사진은 6·25전쟁 당시 미군으로 참전한 토마스 상사(1910∼1988년)가 35㎜ 필름카메라로 찍은 사진들 중 한 장이다. 육군 제공
​1952년 대전역 앞의 을유해방기념비(가운데)와 양쪽의 해태상. 대전역은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무너져 임시로 지은 모습이다. 육군 제공

[금강일보 이준섭 기자] <속보>=을유해방기념비(乙酉解放記念碑) 제자리 찾기를 위한 시민사회의 노력이 조금씩 빛을 발하고 있다. 대전시가 이전과 관련한 의견 수렴을 검토하고 나섰고 여기에 더해 을유해방기념비와 한 짝인 해태상 반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다. <본보 9월 8일자 1면 등 보도>

75년 전 광복 1주년의 기쁨을 함께 누리고 다시는 뼈아픈 역사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각오로 시민들이 대전역 광장에 올려세운 을유해방기념비 이전 논의에 더해 한때 그 곁을 지켰던 해태상도 원래 자리로 돌아올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해태상은 1946년 조성 당시 함께 설치된 을유해방기념비의 좌우에서 기념비를 수호하는 형태로 세워졌다가 1957년 국립서울현충원으로 옮겨졌다. 을유해방기념비도 대전역 광장 조성이 한창이던 1970년대 초 중구 보문산 공원으로 옮겨지면서 현재 모두 뿔뿔이 흩어진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대전시의회는 8일 열린 제261회 임시회에서 을유해방기념비 해태상 반환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결의안을 대표 발의한 더불어민주당 홍종원 의원(중구2)은 금강일보와의 통화에서 “서울로 간 연유가 불분명하고 무명용사탑에 직접 가보니 해태상의 의미가 크게 보이지 않았다”며 “을유해방기념비 이전과 맞물려 해태상도 본래 역할에 맞게 제자리로 돌려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의회 차원에서 해태상 반환이 공식적으로 거론되자 지역 시민사회에서도 을유해방기념비 이전에 큰 힘이 될 것으로 보는 기대감이 읽힌다. 오랜 세월 갈팡질팡했던 을유해방기념비의 거취를 이제야 분명하게 결정할 동력이 생겼다는 판단에서다.

안여종 ㈔대전문화유산울림 대표는 “그동안 을유해방기념비 이전이나 해태상 반환 움직임이 흐지부지되길 반복했는데 이번 결의안은 상당한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 의미가 깊다”며 “결과가 어떻든 본격적으로 의논하겠다는 것이니 이 부분이 정리되면 올해나 내년쯤 보문산에 있는 을유해방기념비도 어느 시기에, 어디로, 어떤 방식으로 옮길 것인지 결론이 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반색했다.

지역 문화계 한 인사는 “을유해방기념비와 해태상이 한쌍인데 반환이 현실화되면 보문산 현 위치에서 보존하기에는 장소도 협소하고 그 상징성을 고려했을 때 옮겨야만 하는 이유가 더 생기는 셈”이라며 “이 기회로 우리가 잊고 있었던 문화유산들에 관심을 갖고 제자리 찾아주는 활동들을 더 활발히 펼쳐나가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바랐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