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 1차 공모 접수 마감 앞두고
충청권 교육청·지자체들 총력전
일각선 “특구 운영 3년, 준비 빠듯”

충청권 교육청과 지자체가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공모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금주 1차 공모가 마무리되는 가운데 지역별 교육발전특구 모델 밑그림이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고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우려의 목소리도 점차 커지는 분위기다.
내달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1차 지정 발표를 앞둔 충청권 교육청과 각 지자체가 필승 청사진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교육 혁신을 목표로 해마다 100억 원에 이르는 국비를 지원받는 사업인 만큼 충청권 교육청과 지자체들도 사활을 걸었다.
대전의 경우 늘봄학교와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연계한 교육발전특구 모델을 기초로 지원한다. 대전형 교육발전특구 모델은 대덕특구 성장전략과 연계한 인재양성,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을 위한 늘봄학교 체계화가 핵심이다. 대전시교육청과 대전시는 공모 마감일인 8일까지 외부 전문가와 함께 세부 내용을 보완해 완성도를 높인다는 복안이다. 세종은 세종시와 세종시교육청이 교육발전특구 교육 모델안 기본구상 수립 연구용역을 추진해 오는 5월 실시되는 2차 공모에 지원할 방침이다.
충남에선 미래 인재 양성, 다문화 학생 맞춤형 교육과 글로벌 인재 양성, 지역 사회와 연계한 정주 생태계 조성을 전략을 앞세워 아산시가 충남도교육청·충남도와 함께 3유형에 지원하기로 했다. 아산과 함께 논산시·부여군은 1차 공모, 공주시·서산시·금산군은 2차 공모에 지원할 계획이다.
충북에선 충주시가 고교생 글로벌 연수와 학교별 특색 프로그램을 연계한 공교육 경쟁력을 강화로 모델을 구상 중이고 음성군과 진천군은 충북혁신도시라는 교집합을 활용해 공동으로 응모하기로 했다. 1차 공모에는 충주·음성·진천을 포함해 제천시·보은군·괴산군까지 6개 시·군이, 청주시·영동군·증평군·단양군·옥천군 등 나머지 시·군은 2차 공모에 참여하는 것으로 방향을 정리했다.
충청권 교육청과 지자체들이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일각에선 영 걱정스런 시선이 가시지 않는다. 지역균형발전과 함께 인구 소멸을 막고 공교육을 발전시킨다는 교육발전특구 취지를 공감하지 않는 건 아니지만 이런 거대 담론을 교육청과 지자체가 떠맡듯 풀어야 하는 현실이 과연 옳은지에 대한 의구심에서다.
지역의 한 교육계 인사는 “교육부는 교육발전특구를 3년간 운영한다는 계획인데 사실 지역에 걸맞은 인재를 키워내고 좋은 학교를 만들기에 빠듯한 시간”이라며 “무엇보다 특구로 선정된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 간의 격차, 산업적 토대가 미미한 지역에선 그 지역 안의 대학을 나와도 외지로 유출될 수밖에 없는데 그런 세세한 부분의 대책은 없는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