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국비 1202억 원 확보
충북도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이차전지 등 과학기술 분야 정부 공모사업에서 27개 사업이 선정되며 국비 1202억 원을 확보, 총 2,117억 원 규모의 사업들을 추진하며 ‘AI 중심 충북’ 조성을 위한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AI 분야에서는 전년 대비 249억 원 증가한 586억 원의 국비를 확보, 총사업비 1024억 원 규모의 사업들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이번 성과는 충북도와 시군, 혁신기관들이 연초부터 공모사업 대응 계획을 면밀히 수립하고, 사업 발굴부터 최종 선정까지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이끌어낸 결과로 분석된다.
확보된 국비를 바탕으로 AI 분야 외에도 국가첨단전략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가 확대된다.
반도체 분야에는 총사업비 244억 원(국비 138억 원), 이차전지 분야에는 총사업비 557억 원(국비 344억 원), 첨단소재 분야에는 총사업비 210억 원(국비 80억 원) 등이 투입되어 관련 사업들이 활발하게 진행될 계획이다.
주요 선정 사업으로는 AI 분야에서 AI 팩토리 사업(총사업비 141.4억 원), 지역특화 제조데이터 활성화 사업(총사업비 120억 원), SW 중심대학(총사업비 187.2억 원), 협약형 특성화고(총사업비 75.5억 원), 충청권 정보보호 클러스터 구축(총사업비 200억 원), 빅데이터 기반 상용배터리 공정 고도화 플랫폼 구축(총사업비 285.8억 원) 등이 포함된다.
또한 반도체 분야에서는 전략기술 지역혁신엔진 사업(총사업비 183.3억 원), 이차전지 분야에서는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부품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실증기반 구축(총사업비 143.4억 원)과 국가첨단전략산업소부장 중소·중견기업 투자지원금(총사업비 194.8억 원), 첨단소재 분야에서는 지속가능 첨단 엘라스토머 기술지원 센터(총사업비 210억 원) 등이 추진된다.
정부가 ‘AI 3대 강국 도약’을 국정과제로 삼아 2026년 예산안에 AI 관련 예산 10조 원을 편성하는 등 관련 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있는 만큼, 향후 공모사업도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충북도는 이러한 국가적 흐름에 발맞춰 AI 대전환 전략 수립 연구용역을 통해 ‘AI 행정 기반 체계 조성’, ‘핵심 산업 AI 융합 고도화’ 등 구체적인 실행과제를 발굴했으며, ‘충청북도 인공지능 기본 조례’를 제정하며 AI 대전환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충북도는 지난 10월 내년도 AI 등 과학기술 분야 정부 공모사업 대응을 위한 '신규사업 발굴 협의체 회의'를 개최하여 신규 사업 발굴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한 논리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올해 미선정된 공모사업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대응 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전 준비에도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이복원 충청북도 경제부지사는 “최근 지자체 간 공모사업 경쟁이 매우 치열한 상황에서 다양한 산학연 컨소시엄 구성은 필수적”이라며 “‘AI 중심 충북’ 실현을 위해 경쟁력 있는 신규 사업을 지속 발굴하고 지역 국회의원과도 적극 공조하며 협력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주=김현수 기자 mak44@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