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

카멀라 해리스가 선거 캠페인에 쓰기 위해 비욘세의 노래 '프리덤'을 사용해 화제이다.

지난 23일(현지시간) 음반산업 시장조사업체인 루미네이트에 따르면  '프리덤'의 온라인 스트리밍 횟수는 23만5400회로, 이틀 전인 21일의 1만6600건 대비 약 14배로 급증했다.

이는 지난 22일 비욘세가 해리스 캠프에 이 노래를 선거 기간 내내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 뒤 일이다.

해리스 부통령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사퇴 후 델라웨어주 윌밍턴의 대선 캠프 사무실을 방문, 잠재적인 대선후보로 처음 공식 석상에 등장할 때 배경 음악으로 프리덤을 사용했다.

해리스 캠프는 다음날 밀워키에서 열린 유세에서도 이 노래를 사용했으며, 이날 유튜브에 올린 첫 캠페인 영상에도 처음부터 끝까지 이 노래를 배경음악으로 썼다.

사진= 해리스 유튜브 캡처
사진= 해리스 유튜브 캡처

미 NBC 방송은 "'해리스 효과'로 '프리덤'이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갑작스러운 상승세를 보인다"라고 전했다.

AP통신은 해리스 부통령이 비욘세와 '프리덤' 피처링에 참여한 래퍼 켄드릭 라마 등의 스타 파워를 선거운동에 이용해 젊은 층을 끌어들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전했다.

대중음악을 연구하는 학자 키니트라 브룩스는 "해리스는 그들의 에너지를 가져와 자신의 캠페인에 접목하고 있다"라며 "해리스가 (지지를 얻기를) 원하는 인구 집단은 젊은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다른 학자 에릭 캐스퍼도 "(선거 캠페인 노래를 부른) 가수가 인기 있으면 후보는 그 인기 있는 유명인과 자신의 선거운동을 연결할 수 있고, 그 가수가 후보를 지지하면 그것이 일종의 투표 독려로 작용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비욘세는 해리스에 대한 지지를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지난 2020년 당시 바이든 대통령과 해리스 부통령을 지지한 적이 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