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전기버스 106대 중 중국산 12대
인천 전기차 화재 중국산 배터리 원인
승객 “탈출도 못 해 전기버스 무서워”

연이은 전기차 화재로 전기차량으로 운행 중인 대중교통에 대한 불안감이 번지고 있다.
전기차의 경우 화재 발생 시 진압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인근으로도 불이 번져 대형화재로 연결될 위험이 있어서다. 최근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의 위험성까지 더해지면서 대형 화재에 대한 우려마저 일고 있다. 전문가는 해당 구역 주변에 옥내소화전과 질식소화포 등 소화설비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20일 대전시에 따르면 관내 전기버스는 전체 시내버스 1029대 중 106대(10.3%)다.
지난 2018년 9월 처음 도입된 이후 10년도 안 되는 사이 정부의 친환경 확대 정책과 맞물려 크게 늘었다. 문제는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하는 차량이다. 이달 초 인천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의 사고 원인이 중국산 2차 전지였던 것으로 밝혀지면서다. 대전 내 전기버스 중 중국산 배터리가 장착된 버스는 12대(11.3%)인데 최근 인천서 발생한 화재가 워낙 크다 보니 전기버스자체를 바라보는 승객들의 시선은 달갑지 않다.
대전시민 A 씨는 “전기차에서 화재가 계속 발생하니 전기버스도 그렇고 전기택시도 탑승하기 꺼려진다. 전기차는 화재가 발생하면 문이 안 열려 탈출도 어렵다니 불안함에 의식적으로 타지 않으려 한다”라고 불안을 표했다.
그러나 중국산 배터리를 쓰는 전기버스의 대·폐차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을 살펴보면 시내버스 차령은 9~11년으로 이 기간이 도래해야 대·폐차할 수 있다. 대전지역 중국산 전기버스 중 등록일이 가장 오래된 것은 2023년 6월 1일로, 향후 대·폐차까지 오랜 시간이 남아있다.
시 관계자는 “즉시 대·폐차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 전기차 화재에 대한 우려가 일고 있는데 전기버스를 운행하는 버스업체를 대상으로 안전운행을 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화재 예방에 주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전문가는 전기버스에 대한 공포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결국 안전 설비가 관건이라고 강조한다. 전기차 주차시설 인근 옥내소화전, 질식소화포 등 소화설비를 설치해 화재 대응역량을 키우며 과도한 불안감을 줄여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현행법상 전기차 주차구역은 화재 안전 기준조차 미흡한 상황이다.
채진 목원대학교 소방안전학부 교수 “전기차 보급률이 늘어나면서 화재도 증가하고 있다. 전기차의 경우 ‘열폭주 현상’으로 인해 유독가스나, 열이 배출돼 화재 진압 시 접근이 어렵고, 확산이 빠르다. 전기차 주차구역이나 충전시설을 지상에 설치해야 하고, 노상은 고온의 열이 있으니 루프탑이나, 캐노피(덮개) 등의 시설을 함께 갖춰야 한다. 또 인근에는 스프링클러, 질식소화포 등 안전성을 위한 소화설비를 둬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는 내달 초 전기차 화재 예방 종합대책을 마련해 발표할 방침이다.
김지현 기자 kjh0110@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