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성의 담배제품 사용률이 소폭 감소하고 여성 흡연자는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전자담배 사용률은 3%가 늘어났다.
지난 27일 질병관리청은 2019~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일반담배와 전자담배 사용 등 현황을 담은 자료를 발표했다.
담배제품 지자체별 현재 사용률 현황에 따르면 2023년 한국 성인의 담배제품 사용률은 2019년(21.6%)보다 0.6% 증가한 22.2%로 나타났다.
일반담배(궐련)의 흡연율은 5년간 큰 변화가 없었지만, 전자담배(액상형 또는 궐련형) 사용률은 2019년 5.1%에서 2023년 8.1%로 3%가 늘어났다.
성별로 구분했을 때, 남자의 담배제품 사용률은 2019년 40.2%에서 2023년 39.9%로 소폭 감소했다. 여성의 담배제품 사용률은 2019년 3.2%에서 2023년 4.9%로 남성보다 적지만 증가세를 보인다.
남성의 일반담배 흡연율은 같은 기간 37.4%에서 36.1%로 1.3% 줄어든 반면에 전자담배 사용률은 9.4%에서 14.2%로 4.8% 증가했다.
다만 여성의 일반담배 흡연율은 2019년 3%에서 2023년 4%로 1% 늘어났고, 전자담배 사용률은 1%에서 2.1%로 약 2배 증가했다.
연령대 중에서는 남성은 40대 47.8%, 여성은 20대 8.9%로 가장 높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전체 담배제품 사용률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전자담배 사용률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자담배도 일반담배처럼 호흡기·심뇌혈관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고 니코틴 등 중독성이 강한 물질과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여러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금연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각 지역 보건소 금연 클리닉에 참여해달라고 권장했다.
한편, 직업에 따라 비사무직일수록 흡연율이 높다고 전해졌다. 기능·단순·노무직군 종사자의 담배제품 사용률은 34.4%로 가장 높았고, 서비스·판매 종사자는 22.8%, 농림어업 종사자가 21.8%로 뒤를 이었다. 전문행정·관리직의 흡연율은 19.6%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