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정부 기여금을 월 최대 2만4000원에서 3만3000원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지난달 29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청년도약계좌 2024년 하반기 운영 점검회의’를 열어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지원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김 부위원장은 “청년들이 스스로 자산을 형성해 나가기 위해서는 청년들에게 보다 강력한 저축 유인과 동력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며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여 최근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매달 70만원 한도로 적금하면 월 최대 2만1000~2만4000원의 기여금을 더해 5000만원가량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여금은 개인소득 수준별 매칭비율, 매칭한도 및 납입액에 따라 정해지기에 매칭한도를 초과해 납입할 경우 초과분에 대한 기여금이 지급되지 않는 점이 저축 유인을 저하한다고 지적됐다.

사진=금융위원회

이날 발표를 통해 기여금 지원 규모가 향후 최대 3만3000원(5년간 최대 198만원)까지 확대되며 모든 소득 구간에서 매칭한도를 납입한도까지 확대한다고 전했다.

예를 들어, 개인소득 2400만원 이하 청년이 월 70만원을 납입하면 매칭한도 확대구간(월 40~70만원)에도 기여금이(매칭비율 3.0%)이 지급돼 기존 2만4000원에서 늘어난 3만3000원의 기여금을 받게 된다.

금융위는 “이 경우 가입자가 만기 시 수령하는 금액은 최대 60만원까지 증가해 연 9.54%의 일반 일반적금상품에 가입한 것과 같은 수인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여금 지원 확대 적용 시기 등 세부 추진 방안은 연내 안내할 예정이다.

사진=금융위원회
사진=금융위원회

한편, 금융위는 상생 차원에서 민간 기부금과 청년도약계좌를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한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신탁 등 금융을 활용해 기부와 청년도약계좌를 연계하는 방안도 관계기관과 함께 적극적으로 검토·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