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찬성’ 주장…부결 당론 못 뒤집고 당내 반발만
끝 없는 윤·한 갈등, 극복 어려움…1년간 여당 사령탑만 두 번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16일 당대표직에서 물러났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것에 대해 집권여당 대표로서 책임을 진다는 의미다. 이로써 7·23 전당대회에서 62.8%(당원투표·국민여론조사 합산)의 압도적 지지를 얻은 한동훈 지도부는 출범 146일만에 막을 내리게 됐다.
한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대표직을 내려놓겠다”며 “최고위원 사퇴로 최고위가 붕괴돼 더이상 정상적인 당대표 임무의 수행이 불가능해졌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비상계엄 사태로 고통 받으신 모든 국민께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 탄핵이 아닌 이 나라에 더 나은 길을 찾으려 백방으로 노력했지만 결국 그러지 못했다. 모두 제가 부족한 탓”이라고 했다.
그는 "우리 국민의힘은 12월 3일 밤 당 대표와 의원들이 국민과 함께 제일 먼저 앞장서서 우리 당이 배출한 대통령이 한 불법 계엄을 막아냈다"며 "헌법과 민주주의를 지켰다. 저는 그것이 진짜 보수의 정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석열정부 초대 법무부 장관이었던 한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4·10총선을 앞두고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취임했다. 한 전 대표는 비상대책위원장 취임 후 줄곧 '국민 눈높이'를 강조하며 김건희 여사 리스크 해소,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호주 대사 임명 등 핵심 현안을 두고 대통령실 및 친윤계 의원들과 충돌했다.
특히 지난 1월 김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을 둘러싼 갈등은 대통령실과 한 전 대표의 갈등이 폭발하는 계기가 됐다. 한 전 대표가 김 여사 리스크 해소를 위한 사과 등을 언급하자 대통령실이 ‘비상대책위원장 사퇴 요구’로 맞받으면서다.
한 전 대표는 4·10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사퇴한 지 두달 여만에 7·23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하며 다시 전면에 등장했다. 총선 참패 책임을 지고 물러난 전직 대표가 차기 전당대회에 출마하는 것이 적절하냐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당원과 국민 여론에서 모두 6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두 번째 여당 사령탑 자리에 올랐다.
이후 한 대표가 김 여사 관련 각종 의혹에 대해 대외 활동 중단·대통령실 인적 쇄신·의혹 규명 협조를 공개 건의하고 나서면서 당정 관계는 걷잡을 수 없이 악화했다.
이같은 상황 속에서 계엄 및 탄핵 정국을 맞으면서 친윤 세력의 공공의 적이 됐다. 결국 친한계를 포함한 선출직 최고위원 전원 사퇴로 지도부는 붕괴했다.
한 전 대표가 대표직에서 물러나면서 향후 권성동 원내대표가 ‘당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당을 이끈다. 새 비상대책위원장이 임명될 때까지 권 원내대표가 당대표 역할을 하게 된다. 비대위원장 임명권 역시 권 원내대표가 행사한다. 비대위가 들어서면, 윤석열정부에서만 다섯 번째 ‘비상체제’다.
유상영 기자 you@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