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22명 중 5176명 재취업… 충청권에선 496명 -재취업 58% 동네의원 行, 필수의료 고작 18% -환자단체 피해 조사기구·재발방지법 마련 촉구

사직 전공의 절반 이상이 일반의로 병·의원에 재취업해 근무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권에서도 약 500명의 사직 전공의가 재취업하면서 일반의 규모가 늘었는데 실상 필수의료를 택한 이들은 많지 않다. 지지부진한 1년간의 의정갈등에 피해를 보고 있는 환자단체는 정부에 피해 조사기구, 재발 방지법 마련을 촉구했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비례)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련병원에서 사직했거나 임용을 포기한 레지던트 9222명 중 지난달 기준 5176명(56.1%)이 의료기관에 재취업했다. 이들 중 3023명(58.4%)이 의원급 기관을 택했으며 상급종합병원에 재취업한 전공의는 88명(1.7%)에 불과하다. 재취업하지 않은 4046명은 의료기관 밖에 있는 상태다. 충청권에서 재취업한 사직 전공의는 496명으로 집계됐다.
전공의 사직과 재취업에 일반의 규모가 급증하며 전국 의료기관 인력 현황에도 상당한 변화가 생겼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일반의는 모두 1만 684명으로 전공의 사직 전인 2023년 말 6041명에서 76.9%나 급증했다. 특히 의원에서 근무하는 일반의가 4073명에서 7170명으로 76% 늘었으며 병원에서 일하는 일반의는 204명에서 842명으로 4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전국 의료기관의 인턴과 레지던트는 2023년 말 대비 각각 96.4%, 88.7% 급감했다.
일반의가 늘었다고 필수의료 인력난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 필수의료과에 재취업한 사직 전공의는 542명으로 의원급 의료기관에 취직한 전체 전공의 3023명의 17.9%에 불과하다. 구체적으로 내과는 382명(12.6%)으로 유의미했지만 산부인과(80명, 2.6%), 소아청소년과(45명, 1.5%), 외과(35명, 1.2%) 등은 여전히 열악했다. 반면 인기과로 불리는 정형외과(254명, 8.4%), 안과(215명, 7.1%), 이비인후과(229명, 7.6%), 피부과(206명, 6.8%) 등은 비중이 2~3배 높다. 1년째 지속된 의정갈등이 더욱 장기화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김 의원은 “사태가 길어질 경우 필수의료뿐만 아니라 지역의료도 붕괴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좀처럼 의정갈등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지난 17일 대한의사협회·대한전공의협의회 등과 만나 비공개 간담회를 진행했으나 별다른 성과 없이 원점 수준에서 마무리됐다. 환자단체가 19일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겠다고 밝힌 까닭이다. 이들은 정부와 의료계에 조속한 사태 해결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 촉구에 나설 계획이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중증질환자와 국민 고통은 아랑곳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부는 본인 목표에만 모든 시간을 할애했다. 의료계는 아직도 원점 재검토만을 주장하며 이 사태를 방치하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는 환자와 국민에 무릎 꿇고 사과하라. 아울러 정치권은 중환자 피해 조사기구를 발족해 환자피해에 대한 명확한 조사를 실행하고 재발 방지법을 법제화해 달라”라고 요구했다.
김세영 기자 ksy@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