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지하화 우선지역 선정
市 입체화로 사업범위 확대
2035년까지 읍내동 부지에
1.4조 들여 신성장거점 조성

<속보>=대전시가 대전조차장을 옮기고 기존 부지를 입체화한다. 조차장이 정부의 철도입체화 통합개발 1차 사업으로 선정되면서다. 조차장은 대전 발전의 핵심 역할을 했지만 지역 단절의 상징이었던 만큼 시는 이를 인공지반으로 덮고 단절과 고립의 벽을 허물어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한다는 복안이다. <본보 2024년 10월 29일자 1면 등 보도> ▶관련기사 3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민생경제점검회의’를 열고 ‘지역 건설경기 보완 방안’을 발표했다. 여기엔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철도 지하화 우선 추진 사업’도 담겼다. 1차 사업엔 대전을 비롯해 부산과 경기 안산이 선정됐다. 대전시는 조차장이 위치한 대덕구 읍내동 426 일원에 청년 창업 등의 성장거점을 조성하는 ‘대전조차장 입체화 통합개발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당초 국토교통부는 시의 철도를 지하화하지 않고 인공지반을 조성하는 통합개발사업에 대해 부정적이었지만 오히려 전국에서 유일하게 인공지반으로 철도 지하화 대신 입체화로 사업 범위를 확대한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특히 2035년까지 기존 조차장 부지 약 38만㎡ 규모에 1조 4000억 원을 투입, 청년창업지구, 빅테크, 미디어 등 정보기술 관련 특화지구 등을 구상해 대전산업단지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인프라를 활용하며 대전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시의 궁극적인 계획에도 공감했다. 여기에 관련 특별법 시행령·시행규칙이 제정돼 시는 통합개발사업 추진 시 주요 기반시설의 설치 비용을 충분히 지원할 뜻도 내놨다. 국토부 관계자는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지로 선정한 3개 지역은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무리가 없는 적정한 규모고 재원이 부족할 경우 자치단체가 보조하겠다는 약속을 받은 곳이다”라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1차 사업을 대상으로 지하화 부분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철도부지개발사업은 자치단체장이 착수할 계획인데 시는 이를 통해 조차장 부지를 대전의 새로운 미래 먹거리 육성의 핵심지로 조성할 방침이다. 이장우 시장은 “지역숙원을 해결하고 철도로 단절된 지역을 재구조화해 대전의 신성장 동력으로 삼겠다. 이를 통해 원도심의 활력 회복 및 도시균형 발전에 이바지하겠다”라고 밝혔다.

조차장 부지가 위치한 대덕구 역시 1차 사업에 조차장이 선정된 것에 대해 환영의 뜻을 내놓으며 구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최충규 대덕구청장은 “대덕구의 50년 숙원이 마침내 해결점을 찾아 감개무량하다. 시가 제안한 상부 데크화를 중심으로 한 입체화 개발 방식이 사업 선정에 결정적 요인이 된 것 같다. 새로운 경제 거점 형성을 위해 전폭적인 지원에 나서겠다”라고 밝혔다.

김현호·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