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립 당시 원형 보존 확인
영사실 계단·일제 건축양식 요소 드러나

대전의 근대건축 유산인 옛 대전부청사가 88년 만에 베일을 벗었다. 내부 해체 작업 중 1937년 건립 당시의 영사실 계단과 장식 요소가 발견되면서 일제강점기 건축양식의 새로운 단서가 드러났다. 대전시는 내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역사성 보존과 현대적 활용이 조화된 복원사업을 추진한다.
대전부청사 건물의 역사는 193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전공회당으로 출발해 1940년 대전부청사로 전환됐고 1959년까지 청사와 상공회의소, 공회당 등 복합용도로 사용됐다가 지난해 52년 만에 공유재산으로 회복됐다. 대전시는 이 건물의 복원을 위해 44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는데 지난해 12월 24일부터 올 2월 21일까지 진행된 해체 작업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뒀다. 내부 마감재와 설비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영사실용 계단과 장식 요소 등 건립 당시 원형이 확인되면서다. 시에 따르면 건물 내부 마감재와 기계·전기 설비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오랜 세월 마감재에 가려져 있던 영사실 계단과 독특한 장식 요소들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제 초점은 속살이 드러난 대전부청사를 어떻게 복원하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쏠린다. 앞서 이장우 시장이 대략적인 틀을 제시하기도 했다. 역사적 가치 보존과 지속가능한 문화소비 공간으로 대전부청사를 활용하기 위해 상업시설 유치까지 포함하는 ‘헤리티지 대전 1937’ 프로젝트가 그것이다. 당시 이 시장은 이 프로젝트를 소개하면서 지하 1층·지상 3층, 연면적 2323㎡ 규모의 대전부청사 건물 1층에 역사성을 살려 과거 충남도 상품진열장이었던 공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대전 명품 브랜드관을, 2층에 대전의 정체성을 담은 시민 문화공간,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3층에는 1930~40년대 공회당을 재현하고 다목적홀을 조성하고 옥상에 야외 문화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구성을 내놓은 바 있다.
시는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전문가 세미나와 시민 공청회를 거쳐 대전부청사 원형복원에 속도를 낼 계획인데 올 상반기 이후 세부적인 방향이 정해질 전망이다. 시 문화유산과 관계자는 “올해 설계용역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복원·보수 방안을 마련하고 향후 활용방안은 공청회를 열어 시민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시장님이 제시한 층별 활용방안은 리모델링 계획과의 정합성 검토가 필요한 만큼 용역 결과에 따라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