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트램건설 따른 교통대책 가동
이달말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착공
1·2공구 중리네거리~신탄진 방면
7공구 충남대~도안동 방면서 시작
전면 교통통제 없이 20개 대책 추진

▲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공사 구간. 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최대 숙원사업인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을 이달 말부터 본격 착공하는 가운데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단계별 교통 대책을 수립했다.

10일 시에 따르면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공사는 이달 말 1·2공구(중리네거리~신탄진 방면)와 7공구(충남대~도안동 방면)에서 시작된다. 나머지 구간에 대해선 올해 상반기까지 공사 발주와 시공 업체 선정이 완료될 전망이다.

시는 공사가 진행되는 14개 구간에서 전면적인 교통 통제를 하지 않지만 단계별로 20개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고속도로를 도심 간선도로로 활용하고 교통 혼잡도에 따라 다인승 전용차로를 시범 운영한다.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해 주 단위로 모니터링 평균 통행속도를 기준으로 단계별 대응 전략을 도입할 예정이다.

공사가 시작되는 이달 말부터는 1단계 대책이 적용된다. 평균 속도가 시속 20㎞ 이하로 내려가면 2단계, 시속 15㎞ 이하로 매우 혼잡해지면 3단계가 시행된다. 1단계 대책은 교통혼잡을 줄이기 위해 홍보와 계도, 약한 규제 정책을 포함한다. 1단계에선 시차출근제 활성화, 승용차요일제 참여 혜택 확대, 출·퇴근 시간 시내버스 및 지하철 집중배차 등이 권고된다. 또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66개 우회경로를 집중 관리하고 대전천 하천 도로를 적극 활용하며 천변고속화도로 버스전용차로의 24시간 단속이 한시적으로 유예된다. 이와 함께 트램 공사 기간 교통 예보제를 도입하고 120 콜센터를 가동해 교통 민원에 대응할 계획이다.

2단계 대책은 평균 통행속도가 시속 20㎞로 감소할 경우 인센티브와 함께 약한 규제 정책을 적용하는 것이 골자다. 이 때는 외곽 순환형 고속도로망을 활용해 차량 흐름을 분산하고 교통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주 단위의 모니터링을 할 방침이다. 특히 2단계에선 전국 최초로 다인승 전용차로를 시범 도입한다는 구상이다.

3단계 대책은 통행속도가 시속 15㎞ 이하로 교통체증이 극심해지는 상황이다. 시는 3단계에서 고속도로 통행료 지원 구간을 확대하고 공공기관부터 승용차 2부제 시행, 주차장 유료화와 요금 인상 등을 통해 승용차 이용을 줄인다는 복안이다.

무엇보다 시는 첨단 교통 정보 시스템을 활용해 차로 변경, 공사 진행 구간, 우회 경로 정보를 안내하는 교통상황 예보제를 시행해 상황 관리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교통지도 애플리케이션으로 트램 공사 진행 상황과 최적 경로를 실시간으로 안내하고 공사 구간을 상시 모니터링해 교통신호체계를 최적화하겠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남시덕 교통국장은 “시민이 오랜 시간 기다려 온 도시철도 2호선이 현실화하는 순간을 맞았다. 시민 불편을 줄이고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