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암 이질성 씨앗’ 전암세포 규명
전암세포 정조준 RNA 치료제 개발 진행

사진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사진 =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국내 연구진이 ‘암 이질성의 씨앗’과도 같은 ‘전암 세포’의 작용 기전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교모세포종을 근본적으로 극복하는 열쇠를 쥐게 됐다.

KAIST는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교모세포종의 진화와 재발, 치료 저항성의 근원이 되는 ‘전암 세포’를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교모세포종은 가장 공격적이고 예후가 나쁜 대표적 악성 뇌종양으로 광범위한 뇌 절제술을 포함한 표준 치료 후에도 1년 이내 대부분 재발하며 생존률이 매우 낮은 치명적인 질환이다.

연구팀은 2018년 교모세포종이 뇌 깊은 곳에 있는 돌연변이 줄기세포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내 ‘네이쳐(Nature)’에 기고한 데 이어 이번엔 전암 세포가 어디서 유래하는지, 즉 돌연변이 기원 세포가 어떻게 분화되는지 규명하는 한편 전암 세포가 종양 내 세부 유형의 암세포들을 만들어 암 재발의 중심축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악성 뇌종양에서는 암세포들이 매우 다양한 형태로 공존하고 각각이 치료에 다르게 반응(종양 내 이질성)하는데 이 같은 이질성을 유발하는 뿌리가 전암 세포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기존 암 세포 자체를 겨냥한 치료에서 벗어나 악성 뇌종양의 근원인 전암 세포를 선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암의 진화와 재발을 막는 정밀 맞춤형 치료 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교원창업기업인 소바젠㈜은 암 진화와 재발을 억제하는 교모세포종 RNA 치료제 신약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해당 논문은 암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캔서 디스커버리(Cancer Discovery, IF=30.6)’ 4월 16일자에 게재됐다. 논문 단독 제1저자인 KAIST 의과학대학원 김현정 박사(고려대 의대 교수)는 “전암 세포는 종양을 더욱 복잡하고 공격적인 형태로 진화시키는 존재”라며 “이 전암 세포를 이해하고 표적화하는 것이 교모세포종을 근본적으로 극복할 열쇠가 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