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영유아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유도 콘텐츠’와, 이를 시청하는 동안 수집된 6분 이내의 비디오 영상을 분석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선별할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 인지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ETRI 연구진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희정 교수팀과 협력해, 42개월 이하 영유아의 3,531건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 지표의 민감도를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술 적용이 가능한 영유아 관찰 시나리오를 개발했다. 이 시나리오를 토대로, 흥미 있는 대상을 보여주거나 이름을 불렀을 때 반응, 모방 행동, 가리키기, 눈 맞춤 등 다양한 사회적 반응을 유도하고 관찰할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 유도 콘텐츠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또 연구진은 해당 콘텐츠를 시청하는 영유아의 상호작용 과정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개인 특성정보 및 감정 인식, 응시점 및 호명 반응 탐지, 제스처 인식, 모방·상동 행동 탐지 등을 수행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인식 AI’ 기술을 개발했다
소셜로보틱스연구실 유장희 박사는“자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함께 증상 발견 후 진단까지의 기간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아울러, 연구가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폐와 같은 중요한 문제의 해결에도 더 많이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