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간 취업자 증가 상위 20개 시군 12곳은 수도권 신도시
고용정보원 “지역 인재유출과 제조업 쇠퇴 원인”

사진 = 한국고용정보원
사진 = 한국고용정보원

지역 일자리 양극화가 지방소멸, 청년인구 유출을 부추겼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지역노동시장 양극화와 일자리 정책과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3~2023년 취업자 수가 증가한 상위 20개 시군 중 12곳이 수도권 신도시다. 특히 수도권 신도시에서 증가한 취업자 규모는 해당 기간 전체 취업자 수 증가분의 절반에 달하는 46.8%였다. 주로 수원, 화성, 용인 등을 중심으로 하는 경기 남부권의 비중이 컸다. 비수도권 중에서 취업자가 증가한 상위 도시는 수도권에 인접한 충북 진천과 충남 아산 등 충청권의 산업도시였다.

청년 취업자의 수도권-대도시 집중 추세가 뚜렷해지는 추세 속 인구소멸위험 지역의 청년층 취업자 감소도 두드러졌다. 2023년 1분기 전체 취업자 중 청년층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도 안산시(17.4%)와 충남 천안시(16.6%)로 나타난 가운데 청년 취업자 하위 20개 시군을 형성하는 지역은 대부분 인구소멸 위험을 겪고 있는 군지역이 주로 포함됐다. 충청권에서는 충남 서천이 청년 취업자 감소율 45.1%를 기록해 청년 취업자 하위 20개 시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상대임금 격차도 확대됐다. 2013년 임금 상위 10곳 중 전남 광양(3위), 울산(4위), 경남 거제(7위) 등이 포함됐으며 경북 포항, 전남 여수 등도 20위권 안에 포함되는 등 비수도권 중화학 집적지들이 다수 포함됐으나 2023년에는 세종시를 제외하면 상위 10곳에 비수도권이 한 곳도 포함되지 않았다. 상위 20위권으로 넓히더라도 충청권 이외 지역에서는 울산(13위), 광양(14위) 등이 순위가 대폭 하락했다.

고용정보원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일자리 양극화가 확대된 이유로 지역의 인재유출과 제조업 쇠퇴를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했다. 지역균형발전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돼 왔음에도 불구하고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유출이 계속됐다는 의미다.

이상호 연구위원은 “산업단지를 만들거나 기업을 유치하면 자동적으로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시대에서 젊은 인재들이 모여있고 이들에게 매력적인 지역으로 기업과 일자리가 쫓아가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며 “정책 방향도 교통망이나 산업클러스터와 같은 경성-인프라와 사회적 자본, 인재 유치를 위한 연성-인프라가 서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전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