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취업자 6년 2개월 만에 최대폭 감소
건설업 청년층도 하락세 지속

사진 = 통계청 제공
사진 = 통계청 제공

경기침체가 계속되면서 제조업 취업자 수가 6년 만에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88만 7000명으로 전년 대비 0.7%(19만 4000명) 증가했다. 전체 취업자 수는 지난 1월부터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15~64세 고용률(OECD 비교기준)은 69.9%로 전년 동월 대비 0.3%포인트 상승했으며 4월 기준으로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만 산업별로 봤을 때 제조업 취업자는 12만 4000명 줄었다. 이는 2019년 2월 15만 1000명 감소한 뒤로 가장 큰 감소폭이다.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 7월부터 10개월째 줄고 있는 상황이다. 건설업은 15만 명(-7.2%) 줄면서 12개월째 취업자 수가 뒷걸음쳤다. 농림어업도 13만 4000명(-8.6%) 줄어드는 등 주요 업종의 고용 감소세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27만 9000명, 임시근로자는 5만 2000명 각각 증가했으나 일용근로자는 5만 4000명 감소했다. 아울러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만 6000명, 무급가족종사자는 7만 7000명 감소한 반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 1000명 증가하는 등 희비가 엇갈렸다.

연령대별로는 청년층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60세이상에서는 취업자가 34만 명, 30대에서 9만 3000명 증가했으나 20대에서는 17만 9000명 줄었다. 40대와 50대에서도 각각 5만 1000명, 1만 4000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외에도 비경제활동인구 중 구직이나 경제활동을 포기한 ‘쉬었음’ 인구는 243만 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만 5000명(1.9%) 증가했다.

이중 청년층(15~29세) 쉬었음 인구는 41만 5000명으로 전년 대비 4만 5000명(1.9%) 늘었고 20대 쉬었음 인구는 39만 2000명으로 전년 대비 3만 5000명(9.7%) 증가했다.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