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씻기 등 예방수칙 준수하고 진단 시 항생제 치료

사진 = 질병관리청 제공
사진 = 질병관리청 제공

올해 들어 10세 미만을 중심으로 성홍열이 유행하는 가운데 당국이 손 씻기 및 기침 예절 등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5월 24일 현재 성홍열 신고 건수는 3809건으로 전년 동기간 1506명 대비 2.5배 증가했다. 충청권에선 대전과 충북 각 98명, 세종 12명, 충남 231명 등 439명이 발병했다.

급성 발열성 질환인 성홍열은 갑작스러운 발열, 두통, 구토, 복통, 인후통 등으로 시작돼 12∼48시간 후 발진을 보인다. 보통 겨울과 봄철에 소아에서 주로 발생해 매년 전체 환자 중 10세 미만 소아가 80% 이상을 차지한다. 올 환자 중 86.5%가 10세 미만이다.

호흡기 분비물과 직접 접촉하거나, 손 또는 물건을 통한 간접 접촉으로 전파된다. 예방 백신은 없지만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의심될 경우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찾으면 된다. 학부모는 아이가 성홍열로 진단되면 항생제 치료 시작 후 최소 24시간까지 어린이집, 유치원 등 집단시설에 등원시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 유치원, 어린이집, 학교와 같은 소아 집단시설에서는 성홍열 예방을 위해 손 씻기, 기침 예절 지키기 등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게 하고, 빈번하게 접촉하는 환경 표면을 주기적으로 소독해야 한다.

국내에 마지막으로 유행한 시기는 2017년으로 당시 2만 2838명이 발생했다. 통상적으로 3~4년마다 큰 규모의 유행이 반복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시행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유행 주기를 방해하면서 올해 환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질병청은 보고 있다.

지영미 청장은 “예방을 위해 학부모와 집단시설에서는 예방관리 수칙을 잘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성홍열은 항생제로 쉽게 치료할 수 있는 흔한 소아 질환으로, 자녀가 감염 증상을 보이는 경우 신속하게 치료 받아달라”고 당부했다.

이주빈 기자 wg955206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